[문화소식] '부안 유천리·진서리 요지' 사적 지정구역 조사 위한 업무협약
송고시간2022-11-25 11:39
어린이 위한 '창녕 교동 63호분 발굴 이야기' 입체 책 발간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이제는 메타버스로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 '부안 유천리·진서리 요지' 사적 지정구역 조사 위한 업무협약 =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전북 부안군과 고려청자 요지(窯址) 등 지역 내 문화유산 조사 및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요지는 토기나 질그릇, 도자기, 기와, 벽돌, 숯 등을 구워내는 시설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연구소와 부안군은 유천리 요지 5구역, 진서리 요지 2·3구역 등을 발굴 조사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구역을 재조정할 예정이다. 사적으로 지정되지 않은 구역도 새로 조사한다.
또 조사 성과를 함께 연구하고 학술대회도 열 계획이다.
'부안 유천리 요지'와 '부안 진서리 요지'는 12세기 후반부터 13세기까지 일반 사람들이 쓰던 청자부터 왕실을 위한 최고급 상감청자까지 만들어낸 고려청자 생산의 중심지다.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됐으며 약 39만㎡ 면적에 13개 구역, 요지 77곳이 분포돼 있다.
▲ 어린이 위한 '창녕 교동 63호분 발굴 이야기' 입체 책 발간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어린이들이 경남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과 성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입체 책을 낸다.
책 제목은 '창녕 교동 63호 앞트기식 돌방무덤'이다.
고대인이 만든 무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총 6면으로 이야기를 전한다. 책을 펼치면 가야의 주요 나라, 창녕 교동 63호 무덤 등에 대한 이야기를 입체적인 그림과 함께 볼 수 있다.
연구소가 입체 책 형태의 책자를 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규모가 큰 무덤인 창녕 교동 63호분은 무덤 축조 방식이나 유물이 묻혔던 양상이 온전히 확인된 바 있다.
이곳에서는 금동관, 구슬 목걸이, 은 허리띠 등 화려한 장신구 유물이 출토됐으며 무덤의 주인공을 지키기 위한 순장 견도 확인됐다.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이제는 메타버스로 =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이달 30일 네이버 제페토에서 메타버스(metaverse·3차원 가상현실) 어린이박물관을 공개한다.
시공간 제약 없이 자유롭게 어린이박물관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메타버스 박물관은 '어린이박물관 월드', '우주 점프', '불꽃을 찾아서' 등 3개로 구성된다.
실제 박물관 전시 공간을 광장, 우주 등으로 재해석했는데, '어린이박물관 월드'에서는 상자 속 문화재를 찾아보며 자연스럽게 역사 지식을 쌓을 수 있다.
'우주 점프'에서는 점프 게임을 통해 동서남북을 지키는 사신을 만나볼 수 있다.
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1/25 11:39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