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서울대병원 연구팀 "콧속 흡입형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연구중"

송고시간2022-11-18 11:21

beta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김현직 교수팀은 항바이러스물질인 '인터페론 람다'(IFN-λ)가 코로나19 감염을 억제하고 폐렴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동물실험에서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코로나19에 감염시킨 동물 모델의 콧속과 상기도(기도의 윗부분)에 인터페론 람다를 투여한 후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했다.

김현직 교수는 "인터페론 람다가 코로나 치료제의 좋은 후보 물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라며 "인터페론 람다를 콧속으로 흡입하는 방식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카이스트와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동물실험서 항바이러스물질 '인터페론 람다' 효과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김현직 교수팀은 항바이러스물질인 '인터페론 람다'(IFN-λ)가 코로나19 감염을 억제하고 폐렴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동물실험에서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인터페론 람다는 바이러스 침투 시 체내에서 분비되는 항바이러스 물질로, 감염 초기 단계의 면역반응에 주로 관여한다.

폐 조직분석 결과(염증 부위 분홍색). 인터페론 람다를 비강 흡입한 코로나 감염 동물 모델은 대조군에 비해 폐 조직의 염증이 덜했다. [서울대병원 제공]

폐 조직분석 결과(염증 부위 분홍색). 인터페론 람다를 비강 흡입한 코로나 감염 동물 모델은 대조군에 비해 폐 조직의 염증이 덜했다. [서울대병원 제공]

연구팀은 코로나19에 감염시킨 동물 모델의 콧속과 상기도(기도의 윗부분)에 인터페론 람다를 투여한 후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했다.

이 결과 투약 3일 후 치료군의 바이러스 수치는 대조군보다 현저히 떨어졌으며, 염증 수준을 의미하는 유전자(IL-1β, TNF-α)의 발현량도 치료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인터페론 람다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폐 침투를 억제하고, 바이러스성 염증도 제거하는 효과를 내는 것으로 분석했다.

김현직 교수는 "인터페론 람다가 코로나 치료제의 좋은 후보 물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라며 "인터페론 람다를 콧속으로 흡입하는 방식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카이스트와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면역학 분야 국제학술지(Frontiers in Immunology)에 발표될 예정이다.

김현직 교수
김현직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bi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