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ETRI, 스마트폰 과의존 등 디지털 기술 부작용 대책 제시

송고시간2022-11-15 12:52

bet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미래 디지털 역기능에 대응하기 위한 15대 기술 솔루션과 8대 정책 방향을 담은 보고서 '디지털 역기능 전망과 대응 방향'을 펴냈다고 15일 밝혔다.

개인 일상과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에서 디지털 기술이 필수 인프라가 됨에 따라 디지털 역기능의 종류·범위·강도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세대 간 정보격차, 스마트폰·소셜 미디어 과의존, 게임 중독, 사이버 폭력, 지식재산 침해, 가짜 뉴스, 인간관계 축소 등은 사회문제로 이어지는 실정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디지털 역기능 전망·대응 방향' 발간…안전·신뢰 사회 견인

디지털 역기능 20개 유형
디지털 역기능 20개 유형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미래 디지털 역기능에 대응하기 위한 15대 기술 솔루션과 8대 정책 방향을 담은 보고서 '디지털 역기능 전망과 대응 방향'을 펴냈다고 15일 밝혔다.

디지털 역기능은 디지털 기술과 응용 서비스를 활용할 때 발생하는 부작용을 통칭한다.

개인 일상과 비즈니스, 사회적 관계에서 디지털 기술이 필수 인프라가 됨에 따라 디지털 역기능의 종류·범위·강도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세대 간 정보격차, 스마트폰·소셜 미디어 과의존, 게임 중독, 사이버 폭력, 지식재산 침해, 가짜 뉴스, 인간관계 축소 등은 사회문제로 이어지는 실정이다.

연구진은 디지털 역기능을 디지털 격차, 디지털 과의존, 디지털 결정장애, 디지털 치매 등 총 20개 유형으로 구분했다.

이어 미래 디지털 세상에서 디지털 역기능에 따른 개인의 심리적·정서적 장애, 경제적 불평등 확대, 편견·차별·책임소재 등 윤리적 문제, 범죄·테러 악용 등 다양한 형태의 위협에 선제적·효율적 대응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미래 디지털 역기능
미래 디지털 역기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개인 맞춤형 가상비서, 인간과 인공지능(AI)의 창의적 협업 지원 기술, 디지털 금융범죄 탐지 기술, 알고리즘 신뢰성 확보 기술, 디지털 역기능 전문 디지털 치료서비스 등 15대 기술 솔루션을 제안했다.

8대 정책 방향으로는 디지털 포용 및 신뢰 지향 사회적 자본 확충, 디지털 역기능 대응 교육·참여 확대, AI·인간의 협동형 직업·직무 개발 등을 내놓았다.

김명준 원장은 "이번에 제시한 디지털 역기능 기술 솔루션과 정책 방향이 미래 디지털 역기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인간·디지털 기술 간 안전한 공존 사회를 견인하는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kjunh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