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이슈] 우리 동네에 소각장이 생긴다면?
송고시간2022-11-12 07:00
https://youtu.be/oiRdzlQS2bk
(서울=연합뉴스)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조만간 생활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됩니다.
매립이 안 된다면 소각해 처리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전국적으로 늘어날 소각장, 순탄하게 설립할 수 있을까요?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 쓰레기 배출량은 2017년부터 꾸준히 증가세입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택배 및 배달 음식 수요가 늘면서 쓰레기 배출량도 증가했습니다.
이렇게 배출된 쓰레기, 소각할 시설은 충분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환경부는 지난 7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자체 10곳의 단체장에게 임기 내로 소각장을 건설하라는 공문을 보냈습니다.
대상이 된 10개 시는 현재 소각장 처리 용량이 50t 이상 부족한데요.
법 시행을 앞두고 소각장 증설이 불가피한 상황인 거죠.
조영민 경희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국토 면적은 제한돼 있고, 쓰레기는 계속 발생하니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필요가 있다"며 "가장 좋은 방법이, 어떻게 보면 유일한 방법이 '소각'이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리 동네에 소각장이 생긴다면 어떨까요?
최근 서울시 마포구에서 진행된 소각장 확충 주민설명회는 고성과 몸싸움 끝에 운도 못 떼고 끝났습니다.
현장을 찾은 주민들은 서울에서 나오는 쓰레기 대부분을 마포구가 떠맡는 건 부당하다고 반발했습니다.
마포구에는 이미 소각장이 있어 추가로 소각장을 설치하는 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도 있었죠.
이 같은 갈등은 비수도권도 마찬가지입니다.
세종시는 전동면 송성리에 북부권 소각장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민과 갈등을 겪었습니다.
충북 청주시와 전남 순천시도 소각장을 비롯한 폐기물 처리시설 건립을 추진했으나 주민 반대로 첫 삽도 뜨지 못한 상황입니다.
갈 길이 먼 소각장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조 교수는 "무엇보다 가장 큰 인센티브는 안전 확보"라면서 "주민들이 우려하는 안전, 건강·보건상 문제, 재산 가치 하락 문제 이런 것들을 충분히 보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 주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제주도에서는 소각장 설립을 앞두고 마을 3곳이 환영 의사를 밝혔는데요.
제주도가 소각장이 들어서는 지역에 260억 원을 들여 주민 편익시설 등을 지원하겠다고 내걸어서죠.
손 놓고 볼 수만은 없는 소각장 갈등, 우리 모두를 위해 적극적인 해결책 모색이 필요해 보입니다.
한지은 기자 최혜빈 인턴기자
writer@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1/12 07: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