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자금조달·제재회피 차단 국제공조 강화…다자회의서 분명한 메시지"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3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하고 있다. 2022.6.3 [공동취재]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한미일 3국의 북핵 수석대표가 7일 통화를 하고 국제사회가 북한의 불법적 도발에 단호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성 김 미 대북특별대표 및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健裕)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3자 전화 협의를 가졌다.
3국 대표들은 한미의 연례적이고 방어적인 연합훈련 등을 구실로 긴장 고조의 책임을 흐리거나 전가하려는 북한의 시도는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이며, 북한의 도발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들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침묵이 북한의 무모한 행위를 조장하고 있다면서 안보리의 단합된 대응 의지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비롯한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는 안보리 결의 위반이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제동으로 안보리가 추가 제재는커녕 의장성명·언론성명도 채택하지 못하는 상황을 염두에 둔 언급이다.
3국 대표는 북한의 핵개발을 단념시키기 위한 노력 차원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자금 조달과 대북제재 회피 시도를 차단하기 위한 국제공조를 더욱 강화하자는 데도 공감했다.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북제재 강화가 사실상 막혀 있는 상황에서 독자제재를 통한 대북 압박 강화를 함께 추진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3국 대표들은 지난달 통화에서 암호화폐 탈취 등을 통한 북한의 핵·미사일 자금 조달을 차단하는 노력을 배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들은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주요 20개국(G20) 등 다가오는 다자 정상회의에서도 북한의 도발에 분명한 메시지가 발신될 수 있도록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
앞서 이날 통화한 한미일 외교차관도 같은 방침을 언급해 조만간 개최될 다자 정상회의에서 3국의 강력한 대북 공조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3국 대표들은 대화의 문이 항상 열려있다며 북한이 무모한 도발에 재원을 낭비하는 대신 조속히 대화의 길로 복귀할 것도 거듭 촉구했다.
3국 북핵 대표들이 통화한 것은 지난 3일 이후 나흘 만이다. 당시 통화에서 북한 도발 대응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추가 협의를 하기로 함에 따라 이날 통화가 이뤄졌다.
kimhyoj@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1/07 16:02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