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부마항쟁 때 불법구금돼 고문 시달린 김효영 씨…보상금 기부

송고시간2022-11-04 08:25

beta

1979년 10월 부마민주항쟁 때 불법 구금돼 고문 등에 시달린 김효영(57·부산) 씨가 항쟁 관련자로 인정돼 받은 보상금 중 일부를 기부했다.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은 최근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사무실에서 김씨가 참여한 가운데 기부금 전달식을 했다고 4일 밝혔다.

2019년 11월 부마민주항쟁 관련자로 인정받은 김씨는 지난달 중순 받은 보상금 중 1천500만원을 재단에 기부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김씨 "항쟁 참가하고도 고통 속에 숨어 사는 이들에게 도움 줬으면"

부마민주항쟁 관련자 김효영 씨
부마민주항쟁 관련자 김효영 씨

(창원=연합뉴스) 지난 3일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사무실에서 열린 기부금 전달식에서 김효영(왼쪽) 씨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2.11.4 [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1979년 10월 부마민주항쟁 때 불법 구금돼 고문 등에 시달린 김효영(57·부산) 씨가 항쟁 관련자로 인정돼 받은 보상금 중 일부를 기부했다.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은 최근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사무실에서 김씨가 참여한 가운데 기부금 전달식을 했다고 4일 밝혔다.

2019년 11월 부마민주항쟁 관련자로 인정받은 김씨는 지난달 중순 받은 보상금 중 1천500만원을 재단에 기부했다.

1979년 당시 부산 신선중학교 3학년 학생이던 김씨는 시위에 휩쓸렸다가 이내 군복을 입은 진압대에 포위돼 무차별 폭행 당하고 감금됐다.

경찰은 김씨를 거꾸로 매달아 고춧가루 물을 먹이고 곤봉으로 두들겨 패는 등 고문을 이어갔다.

김씨는 풀려난 뒤에도 폭행·고문 등의 충격으로 대인기피증 등을 겪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홀로 고통을 견뎌오다가 재단 측 도움을 받아 3년 전 부마민주항쟁 관련자로 공식 인정받게 됐다.

김씨는 자녀들에게도 최근에 와서야 부마민주항쟁 참여 사실을 알렸다고 한다.

김씨는 "이 돈이 저처럼 부마민주항쟁에 참가하고도 고통 속에 숨어 사는 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데 쓰였으면 한다"고 말했다.

재단 측은 김씨가 전달한 기부금을 부마민주항쟁 참가자들의 트라우마 치료와 항쟁 관련자로 인정받지 못한 이들을 돕는데 사용할 예정이다.

최갑순 재단 이사장은 "당시 중학생이던 소년이 얼마나 힘이 들었을지 미안하고, 살아 있어줘서 고맙다"며 "기부금은 관련자들의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데 사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ks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