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사고광산 지하 '천공' 성공…내시경 통해 본격 수색(종합)
송고시간2022-11-03 11:27
'3호공'서는 고립 작업자 확인못해…'4호공' 통해 추가 확인 예정

(봉화=연합뉴스) 김현태 기자 = 경북 봉화군 광산 매몰 사고 9일째인 3일 오전 고립된 작업자 2명의 생존 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투입된 시추기 중 2대가 '구조 예상 지점'에 도달했다. 이날 오전 9시께 현장에서 구조 관계자들이 갱도 내부를 내시경과 마이크 장비 등을 활용해 고립된 작업자들과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고립된 작업자 가족들이 뒤에서 지켜보고 있다. 2022.11.3 mtkht@yna.co.kr
(봉화=연합뉴스) 김선형 박세진 기자 = 봉화 광산매몰 사고 9일째인 3일 구조 당국은 '구조 예정 지점'으로 통하는 복수의 천공(구멍 뚫기) 작업에 성공하며 수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당국은 '3호공'을 통해 내시경 장비를 넣고 고립된 작업자들의 생존 여부 및 위치 등에 대한 파악에 나섰지만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다. 이에 따라 당국은 '4호공'을 통해 추가로 내시경을 투입할 예정이다.
장유성 산업통상자원부 동부광산안전사무소 광산안전관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지름 76mm 천공기 2대(3호공·4호공)가 각기 지하 170m 지점에 도달했다"며 "3호공에 (관을 통해) 내시경 장비를 넣었으나 고립자분들이 보이지 않았다. 반응이 없었다"고 밝혔다.
내시경을 통해 확인한 영상 속 지하 갱내 환경은 완전히 깨끗한 상태는 아니지만, 사고 원인인 펄(토사)이 밀려온 흔적이 없었다. 지하수도 보였다.
내시경 수직·수평 카메라로 확인할 수 있는 반경은 갱내 여건에 따라 가변적이라고 장 광산안전관은 설명했다.
구조 당국은 30m 거리에 떨어진 4호공이 뚫은 천공에도 내시경 카메라를 투입할 예정이다.
다른 천공기 4대는 각기 지하 137m(지름 76mm), 34m(지름 76mm), 70m(지름 200mm), 64m(지름 98mm)를 뚫는 중이다. 나머지 4대는 시추 작업을 준비 중이다.
폐갱도인 제2 수직갱도를 통한 구출 진입로 확보 작업은 '3편 본선 갱도'(평면도 상 상단 갱도)를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상단 갱도 내 레일은 전부 깔려 있다. 갱도 내 붕괴 등 위험 없이 진입할 수 있는 진입로 약 165m가 확보됐다.
sunhyung@yna.co.kr
psjpsj@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1/03 11:27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