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도쿄서 한일·한미 차관회담…내일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
한일 정상 만남 관련, "내달 아세안 정상회의 등 계기 고위급 접촉 가능성"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이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ㆍ미ㆍ일 외교차관 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25일 오전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제선 청사 통해 출국하다 취재진과 인사하고 있다. 2022.10.25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오수진 기자 = 한미일 3국 외교차관 협의회 참석차 방일하는 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북한의 일련의 도발과 중국 공산당 대회 종료에 따른 동북아 정세가 엄중하다"며 "이러한 지역 정세는 물론 글로벌 도전에 따른 이슈를 포괄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조 차관은 이날 김포공항을 통해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기자들을 만나 26일 도쿄서 열리는 제11차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의 의제를 이같이 설명했다.
조 차관은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 등으로 논의할 수 있는 3국 안보협력 방안에 대해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공감대가 넓어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구체적인 방안은 군사 당국 간 협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만 말했다.
북한 7차 핵실험 대비 차원의 제재 방안에 대해서는 "제재 방안을 우리가 구체적으로 협의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북한의 핵실험에 대비한 포괄적인 논의는 있을 것이기 때문에 그런 맥락에서 이해해달라"고 설명했다.
중국 당 대회 종료 후 새 지도부가 강조하고 있는 '대만 독립 반대' 입장에 대해서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한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문제가 제기되면 그런 입장 하에서 논의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에는 조 차관과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森 健良)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참석한다.
조 차관은 이날 도쿄에 도착해 모리 차관, 셔면 부장관과 각각 한일, 한미 외교차관회담을 진행한다. 방일 기간 일본 고위 인사 예방도 조율되고 있다.
조 차관은 한일 외교차관 회담에서 "강제징용 문제 해결을 포함한 한일 간 현안에 대해서 폭넓은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국내 재단이 강제 동원 배상금을 대납하는 방식을 한일이 논의하고 있다는 일본 언론 보도와 관련해선 "한 가지 방안을 결정해서 협의하고 있는 건 아니다"며 "그런 의견들을 반영해서 한일 간 여러 가지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기업에 대한 사죄 요구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해법을 마련함에 있어 일본 측의 긍정적인 호응이 중요한 요소라는 점도 우리가 염두에 두고 있다"고 했다.
그는 한일 차관회담에서 정상 회동 일정에 대해 논의하느냐는 질문에 "오는 11월 아세안 등 정상회담이 있는데 그 계기에 고위급 접촉이 있을 가능성을 저희가 염두에 두고 있다"며 "그런 협의도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한미 외교차관회담 의제와 관련, "지난 9월 워싱턴에서 개최된 확장억제 전략 협의체에서 논의된 한미 간 확장억제 강화 방안 논의에 이어서 오늘 또 협의가 있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경제안보 관련 사항과 내년에 70주년을 맞이하는 한미 동맹 강화 방안도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kimhyoj@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0/25 08:57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