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케이 "바이든 행정부, 대만과 美무기 공동생산 검토"
송고시간2022-10-19 21:58
"中 위협 대비 휴대용 방공 시스템 등 공동생산 염두"
(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 =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미국제 무기를 대만과 공동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9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휴대용 방공 시스템과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 탄약 등의 공동 생산을 염두에 두고 있다.
닛케이는 한 관계자를 인용해 미국과 대만 사이에 공동 생산에 관한 초기 단계의 협의가 시작됐다고 전했다.
미국의 방산 기업이 기술을 제공해 대만에서 생산하거나 대만에서 만든 부품을 사용해 미국에서 생산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다른 관계자는 "2023년을 거치면서 (공동 생산과 관련한) 상세한 내용이 채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가 대만과의 무기 공동 생산을 검토하는 이유는 중국의 위협에 대비해 대만에 무기를 빨리 공급하기 위해서다.
미국 정부가 무기 매각을 승인하고 인도가 완료될 때까지 수년∼10년 정도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
미군은 중국이 2027년까지는 대만 침공 능력을 갖출 것으로 분석하고 있어 대만의 방위력을 높이는데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공급이 급증하면서 미국이 전 세계 무기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렵게 됐다는 사정도 있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휴대용 방공 시스템인 '스팅어'와 고속기동 로켓 시스템인 '하이마스'는 미국 내 재고가 부족한 상태다.
대만이 도입을 추진하는 스팅어와 하이마스 등은 인도가 늦어질 가능성이 있고, 미국이 이런 이유로 대만과의 공동 생산을 검토한다는 것이다.
닛케이는 "바이든 행정부는 대만의 방위력 강화에 속도를 내기 위해 관련국에도 대만에 대한 무기 지원을 압박할 태세"라며 "무기와 관련 부품의 대만 제공에 대해 (관련국) 의향 조사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대만에 무기를 제공하면 중국이 거세게 반발할 공산이 크기 때문에 유럽과 아시아의 관련국이 대만 지원에 선뜻 나서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hoj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0/19 21:58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