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통계청장 "물가 10월 정점론 나오지만 7월이었을 수도"

송고시간2022-10-17 12:23

beta

최근 고물가의 정점이 7월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한훈 통계청장은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통계청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한국은행이 물가 정점을 10월로 예측했는데 통계청은 7월이 가장 높았을 가능성을 제기, 양 기관의 물가 전망 괴리가 크다"고 지적하자 한 청장은 "한은은 10월 정점론을 얘기했는데 현실적으로 7월이 가장 높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답변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답변하는 한훈 통계청장
답변하는 한훈 통계청장

(대전=연합뉴스) 이주형 기자 = 한훈 통계청장이 17일 오전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린 통계청·관세청·조달청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2022.10.17 coolee@yna.co.kr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박원희 기자 = 최근 고물가의 정점이 7월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한훈 통계청장은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통계청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한국은행이 물가 정점을 10월로 예측했는데 통계청은 7월이 가장 높았을 가능성을 제기, 양 기관의 물가 전망 괴리가 크다"고 지적하자 한 청장은 "한은은 10월 정점론을 얘기했는데 현실적으로 7월이 가장 높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답변했다.

이와 관련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유가 폭등과 같은 돌발적 외생변수가 없다는 전제로 10월께에는 물가가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월 6.3%(작년 동월 대비)를 기록한 이후 8월 5.7%, 9월 5.6%로 두 달째 둔화한 바 있다.

물가 상승률이 이대로 둔화할지, 다시 치고 올라 6.3%를 경신할지 방향성을 두고 전망이 엇갈리는 것이다.

최근에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대 폭의 원유 감산에 합의한 데다 10월 공공요금 인상까지 맞물리면서 10월 정점론에 대한 의심이 커진 상황이다.

정부와 한은, 통계청은 물가가 정점을 찍더라도 5~6% 수준의 고물가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speed@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