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항암 효과 높이는 바이러스 전달체 기술 개발"

송고시간2022-10-07 10:54

beta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송재진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최혜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암 치료용 바이러스를 암세포까지 정확하게 전달시켜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달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새로운 항암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바이러스를 암세포까지 정확히 운반하는 전달체 기술이 까다로워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받은 치료제는 암젠의 티벡(T-VEC)이 유일하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전달체 기술이 기존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전달체에 3가지 유전자를 추가 주입함으로써 체내에 들어간 바이러스가 종양이 될 가능성을 차단하고, 종양에만 도달하는 능력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연세대 송재진·세브란스 최혜진 공동연구팀 공동개발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송재진 교수와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최혜진 교수 공동 연구팀은 암 치료용 바이러스를 암세포까지 정확하게 전달시켜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전달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항암 효과 높이는 바이러스 전달체 기술 개발"
"항암 효과 높이는 바이러스 전달체 기술 개발"

[세브란스병원 제공]

바이러스를 이용한 암 치료 방식은 유전자 조작을 거친 바이러스를 체내에 침투시켜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암세포를 파괴하는 개념이다. 새로운 항암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바이러스를 암세포까지 정확히 운반하는 전달체 기술이 까다로워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받은 치료제는 암젠의 티벡(T-VEC)이 유일하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전달체 기술이 기존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전달체에 3가지 유전자를 추가 주입함으로써 체내에 들어간 바이러스가 종양이 될 가능성을 차단하고, 종양에만 도달하는 능력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생쥐 실험 결과, 주입 후 종양에 도달하는 바이러스의 양이 기존 기술보다 100배 수준으로 증가했으며, 종양을 제외한 다른 장기에서는 바이러스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송재진 교수는 "기존 항암 바이러스의 효능과 안전성 모두 개선한 치료제 개발에 단초를 마련했다"면서 "기술 이전을 통해 실제 치료제로 상용화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유전자세포치료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Molecular Therapy Oncolytics) 최신호에 발표됐다.

[세브란스병원 제공]

[세브란스병원 제공]

bi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