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바닷속 나노플라스틱 노출된 참조기 소화효소 활성 39%↓"

송고시간2022-10-03 12:00

beta

한국연구재단은 건국대 안윤주 교수 연구팀이 먹이사슬에 따라 바닷속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참조기의 소화효소 활성이 떨어지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나노플라스틱을 간접적으로 섭취한 해양생물에 나타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형광 19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폴리스타이렌 나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환경 속에서 미세조류(식물 플랑크톤)를 배양했다.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참조기는 일반 참조기보다 소화효소인 알파 아밀라아제 활성이 3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건국대 안윤주 교수 "식자원에 영향 끼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

해양 먹이사슬 통해 나노플라스틱 참조기에게 전이되는 모식도
해양 먹이사슬 통해 나노플라스틱 참조기에게 전이되는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한국연구재단은 건국대 안윤주 교수 연구팀이 먹이사슬에 따라 바닷속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참조기의 소화효소 활성이 떨어지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나노플라스틱을 간접적으로 섭취한 해양생물에 나타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형광 19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폴리스타이렌 나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환경 속에서 미세조류(식물 플랑크톤)를 배양했다.

이어 이를 먹이로 섭취한 소형 갑각류를 참조기에게 제공한 뒤 참조기 소화관 안을 관찰한 결과 나노플라스틱이 참조기에게 전이됐고, 24시간 뒤에도 소화관 내에 남아 있었다.

나노플라스틱에 오염된 미세조류를 섭취한 소형 갑각류는 장관 벽이 손상됐다.

나노플라스틱이 참조기에 미치는 영향
나노플라스틱이 참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참조기는 일반 참조기보다 소화효소인 알파 아밀라아제 활성이 3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윤주 교수는 "나노플라스틱이 사람이 섭취하는 식자원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고 설명했다.

kjunh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