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中 수습 노력에도…부동산담보대출 상환 거부 현장 늘었다

송고시간2022-09-20 14:57

beta
세 줄 요약

중국 당국이 각종 지원조치로 부동산 시장 위기에 대처하고 있으나, 아파트 수분양자들의 부동산담보대출(모기지) 상환 거부 현장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0일 보도했다.

'우리는 집이 필요해(WeNeedHome)'라는 제목의 깃허브(GitHub, 오픈소스 사이트)에 따르면 현재 중국 내 모기지 상환 거부 현장은 119개 도시의 342곳에 달한다.

중국 당국이 부동산 투기 단속을 본격화하면서 작년 말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황에 부닥쳤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 중국 당국이 각종 지원조치로 부동산 시장 위기에 대처하고 있으나, 아파트 수분양자들의 부동산담보대출(모기지) 상환 거부 현장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0일 보도했다.

'우리는 집이 필요해(WeNeedHome)'라는 제목의 깃허브(GitHub, 오픈소스 사이트)에 따르면 현재 중국 내 모기지 상환 거부 현장은 119개 도시의 342곳에 달한다.

이는 8월 초 100개 도시의 320곳과 비교할 때 일정 수준 늘어난 것이다.

특히 허난성 중부와 후난성에서 거부 사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당국이 부동산 투기 단속을 본격화하면서 작년 말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황에 부닥쳤다. 이는 여타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유동성 위기로 이어져 개발 프로젝트 중단을 초래했다.

이로 인해 분양 대금을 미리 낸 아파트 수분양자들이 모기지 상환 거부로 맞서면서 중국 전역의 부동산 시장 위기로 확산했다.

이런 모기지 상환 거부 사태는 지난 6월 말 장시성 징더전의 헝다 주택 건설 현장에서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다.

주택담보대출금이 많았던 허난성 정저우시 등에서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 사태)과 예금주들의 시위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금리 인하, 부동산 개발업체에 대한 은행의 자금 지원,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특별 대출 제공 등의 대책으로 부동산 위기를 잠재우려 하고 있으나 아직 효과는 신통치 않은 상황이다.

예금 인출 중단 항의하는 중국인들
예금 인출 중단 항의하는 중국인들

(정저우 로이터=연합뉴스) 10일 중국 허난성 성도 정저우에 있는 중국인민은행(중앙은행) 사무실 주변에서 시위대가 일부 마을은행들의 예금 인출 동결에 항의하고 있다. 시위대가 든 팻말에 "허난은행은 합법적 예금을 돌려달라"고 적혀 있다. [로이터 TV 제공 동영상 캡처] 2022.7.11
jsmoon@yna.co.kr

kjih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