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시진핑·푸틴 회담 개시…우크라 개전 후 첫 만남

송고시간2022-09-15 20:35

beta
세 줄 요약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에서 양자 정상회담을 시작했다.

중국 관영 중앙TV(CCTV)에 따르면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양자회담을 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2월24일) 이후 처음 대면한 두 정상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대만을 둘러싼 미·중 갈등 심화, 미국의 대중국 군사·경제 관련 견제 강화 등 배경 속에 반미를 고리로 한 전략적 공조 의지를 다질 것으로 예상된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시진핑(오)·푸틴(왼) 회담 개시…우크라 개전 후 첫 만남
시진핑(오)·푸틴(왼) 회담 개시…우크라 개전 후 첫 만남

[AP=연합뉴스]

(베이징 블라디보스토크=연합뉴스) 조준형 최수호 특파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에서 양자 정상회담을 시작했다.

로이터와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 등에 따르면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양자회담을 했다. 회담은 이날 개막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나란히 참석한 계기에 이뤄졌다.

중·러 정상의 대면 회담은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일인 지난 2월 4일 베이징에서 열린 회담 이후 7개월여 만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2월24일) 이후 처음 대면한 두 정상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대만을 둘러싼 미·중 갈등 심화, 미국의 대중국 군사·경제 관련 견제 강화 등 배경 속에 반미를 고리로 한 전략적 공조 의지를 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과 대만 문제와 관련해 상대 입장을 직접 또는 간접 지지함으로써 두 사안에서 자신들 반대편에 서 있는 미국을 견제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측은 회담 후 별도의 공동성명은 내놓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러시아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jhcho@yna.co.kr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ZHogghlHQas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