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생명연, 폐암 환자 항암제 내성 원인 밝혀…"치료 실마리"

송고시간2022-09-15 17:46

beta
세 줄 요약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미랑·김선영 박사 공동연구팀이 폐암 환자의 항암제 내성 원인을 밝히고 새로운 치료 목표물을 찾았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역성형 림프종 인산화효소'(ALK) 양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항암제 내성 원리를 규명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김미랑 박사는 "CDA 억제제를 이용해 내성이 생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향후 항암제 내성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ALK 양성 비소세포 폐암 표적항암제 회피·제어 원리 규명

ALK 표적항암제 내성 폐암의 항암제 내성 원인 규명
ALK 표적항암제 내성 폐암의 항암제 내성 원인 규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미랑·김선영 박사 공동연구팀이 폐암 환자의 항암제 내성 원인을 밝히고 새로운 치료 목표물을 찾았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역성형 림프종 인산화효소'(ALK) 양성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항암제 내성 원리를 규명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전체 암 사망자의 22.7%에 달하는 등 사망률이 가장 높은 폐암은 암세포 크기·형태에 따라 크기가 작은 소세포 폐암과 비소세포 폐암으로 구분된다.

전체 폐암 환자의 80∼85%를 차지하는 비소세포 폐암 가운데 5% 정도에서 ALK 유전자 변이로 인한 ALK 양성 비소세포 폐암이 발병하는데, 주로 50대 이하 연령대나 비흡연 폐암 환자에게서 발견된다.

ALK 양성 비소세포 폐암은 표적항암제를 투여하면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이지만, 지속해서 투여할 때 항암제 내성이 생겨 재발하거나 재발 이후 치료를 더욱 어렵게 한다.

연구팀은 단일세포 유전체 기술을 통해 항암제 내성 세포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분석해 내성 원인을 규명했다.

표적항암제를 투여할 때 세포 증식·이동성을 높이는 '시티딘 탈아미노효소'(CDA)가 암세포 내에서 활성화해 항암제를 회피하고 증식하면서 내성이 생긴다는 것이다.

김미랑 박사는 "CDA 억제제를 이용해 내성이 생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향후 항암제 내성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junh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