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포스코 위기엔 뭉친다…태풍 피해 복구 공동 대응
송고시간2022-09-15 17:38
준설차 요청에 긴급 상황 해결 뒤 즉시 투입 화답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경북 포항시와 포스코가 태풍 힌남노에 따른 피해 복구와 조기 안정화를 위해 공동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15일 포항에 있는 포스코 본사를 방문해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을 만나 대응책을 논의했다.
포스코는 고로(용광로) 등 긴급한 부분을 해결했고 제강(쇳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업)과 연주(쇳물로 슬라브를 만드는 작업)공정도 상당 부분 복구해 반제품 생산을 시작했다.
이에 후공정인 압연(열과 압력을 가해 철을 가공하는 작업) 라인 복구에 집중하고 있다.
1열연은 1개월 이내 복구할 수 있지만 2열연은 전기배선 화재로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내다본다.
포스코는 포항시에 흙탕물 제거를 위한 준설차(버큠카) 수급 어려움을 호소했다.
이에 포항시는 주택 침수 등 긴급 상황이 해결되는 대로 즉시 포스코 현장에 투입할 것을 약속했다.
방역지원 요청에는 읍면동 방역봉사단을 포함한 경력자를 최대한 확보해 지원하기로 했다.
시와 포스코는 항구적인 재난방지대책도 협의했다.
시는 시간당 최대 110㎜의 집중호우와 함께 평소 만조 때보다 훨씬 높아진 바다 수위로 범람한 물이 바다로 빠져나가기 어려워지면서 침수 피해가 커진 것으로 본다.
또 포항제철소 공장부지 확장을 위해 냉천하구를 동쪽으로 돌리면서 하천 선형이 바뀌었고 유속 변화가 심해진 점이 피해를 더 키운 것으로 본다.
이에 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냉천 둑을 높이고 하천 바닥을 낮추며 다리를 개량해 물흐름을 개선하기로 했다.
포스코도 차수벽 설치 등을 설치해 방재대응 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양측은 앞으로 머리를 맞대고 항구 복구를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태풍을 계기로 포항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시와 포스코가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 자금·융자 등 금융·재정 지원 ▲ 연구개발 지원 및 성과 사업화 지원 ▲ 국내 판매, 수출 지원과 경영·기술·회계 관련 자문 ▲ 재직근로자 교육훈련 및 실직자·퇴직자 재취업교육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강덕 시장은 "지역경제 기둥인 포스코가 하루속히 정상화해야 협력업체 및 관련 철강 기업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시도 포스코의 빠른 원상 복귀를 위해 총력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학동 부회장은 "지역기업 피해가 없도록 공급사들과 협의하고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복구를 마치겠다"고 밝혔다.
sds123@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9/15 17:38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