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음각이 일제 잔재?'…전북도의회 혈세로 의회 마크 교체(종합)

송고시간2022-09-14 14:24

beta

제12대 전북도의회가 1천600만 원을 들여 청사 외부의 의회 마크 등을 교체하기로 해 예산 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14일 전북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는 이달 사업비 1천600만 원을 투자해 청사 정면 외벽에 높이 2.5m가량의 무궁화 모양 마크를 뜯어내고 새 마크로 교체한다.

음각이 일제 잔재라는 전제부터가 틀렸고 단순한 마크 교체에 1천만 원대의 예산을 들이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교체 중인 전북도의회 외벽 마크
교체 중인 전북도의회 외벽 마크

[촬영 : 김동철]

(전주=연합뉴스) 김동철 기자 = 제12대 전북도의회가 1천600만 원을 들여 청사 외부의 의회 마크 등을 교체하기로 해 예산 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14일 전북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는 이달 사업비 1천600만 원을 투자해 청사 정면 외벽에 높이 2.5m가량의 무궁화 모양 마크를 뜯어내고 새 마크로 교체한다.

도의회는 이를 비롯해 본회의장과 본회의장 단상까지 총 3곳의 의회 마크를 바꾼다.

도의회 내부에서는 2015년 제작된 현 마크를 계속 쓰자는 의견이 적지 않았으나 김정수 도의원(재선·익산 2)이 주도적으로 교체를 추진했다.

교체 전 마크(왼쪽)와 교체 후 마크
교체 전 마크(왼쪽)와 교체 후 마크

[전북도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음각 형태로 제작된 현재 마크가 다른 시·도의회 마크 모양과 다르고, 음각이 일제 잔재라는 의견이 있었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일본 의원들이 음각으로 된 배지를 사용하는 등 음각이 일제 잔재라고 생각한다"며 마크 교체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음각이 일제 잔재라는 전제부터가 틀렸고 단순한 마크 교체에 1천만 원대의 예산을 들이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도내에서 활동 중인 한 조각가는 "음각이 일제 잔재라는 주장은 말도 안 되는 소리"라며 "조선 시대에도 음양각으로 현판을 제작했다"면서 김 의원의 주장을 일축했다.

도의회 한 공무원은 "마크가 낡았다면 도색만 하면 되지 굳이 전면 교체까지 필요할까에 대해 의문"이라며 "도민 정서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의회 관계자는 "의회 마크가 낡고 오래됐고 조례상의 이미지와도 맞지 않아 교체하는 것"이라며 "예산 낭비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sollens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