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수원 세모녀 사건 막는다'…대구시 종합대책
송고시간2022-09-07 14:06
(대구=연합뉴스) 이덕기 기자 = 대구시는 '수원 세 모녀 사건'과 같이 생계 곤란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복지사각지대 취약계층을 신속히 찾아내고 지원하기 위해 '위기가구 종합지원대책'을 마련했다고 7일 밝혔다.
5대 정책, 22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된 종합지원대책은 위기 가구를 더 빨리 찾아내고 관련 기관이 더 넓게 참여하고, 더 두텁게 지원한다는 방향으로 마련했다.
이에 따라 시는 한전, 도시가스, 상수도사업본부 등과 협력해 2개월 이상 요금 연체자를 매월 파악하는 등 지역형 빅데이터를 활용해 위기가구를 신속히 파악한다는 계획이다.
또 수원 세 모녀 사건을 교훈 삼아 주소 미이전 위기 가구를 찾기 위해 주민등록 일제조사 시 통장과 공무원이 적극 협력해 실거주자 중심으로 파악한다는 방침이다.
맞춤형 급여 안내 사업인 복지 멤버십 가입 대상을 전 시민으로 확대해 회원 가입만 하면 전 생애에 걸쳐 주기별 지급 가능 서비스를 자동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한다. 소방, 경찰공무원, 교사, 의료인력, 복지기관 종사자 등 위기가구 신고 의무자를 대상으로 핀셋형 교육과 함께 홍보 강화를 통해 신고 및 예방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은둔형 청년, 시설보호 종료 아동 등 MZ세대의 새로운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지원한다.
특히 여러 부서에 산재한 위기 상황 발굴과 지원 업무를 하나로 묶어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할 '희망복지 원스톱지원센터'를 대구시행복진흥원에 설치키로 했다.
위기가구를 더 두텁게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현금·현물 지원에서 소득수준별, 위기 상황별 맞춤지원으로 확대한다.
김동우 시 복지국장은 "위기 상황에서 고통받고 있는 시민을 조기에 찾아내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시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제보를 요청했다.
duc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9/07 14:06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