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문화소식] 혜곡최순우기념관 '우현 송영방을 기리며' 특별전

송고시간2022-09-06 10:34

beta

혜곡최순우기념관 '우현 송영방을 기리며' 특별전 =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은 내달 1일까지 서울 성북구 혜곡최순우기념관에서 가을 특별전 '혜곡의 영감(靈感) 2 - 우현 송영방을 기리며'를 연다.

혜곡 최순우 선생과 한국화가 고(故) 송영방(1936∼2021)의 인연을 기리는 자리다.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예능풍류방' 공연 = 국립무형유산원은 이달 7일과 15일, 21일 세 차례에 걸쳐 전북 전주와 서울에서 '2022 무형유산 예능풍류방' 공연을 한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예능풍류방' 기획 공연

한국문화재재단, 14∼18일 '한옥연차' 팝업스토어

최순우 선생이 생활한 사랑방에 전시된 전시품
최순우 선생이 생활한 사랑방에 전시된 전시품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 혜곡최순우기념관 '우현 송영방을 기리며' 특별전 =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은 내달 1일까지 서울 성북구 혜곡최순우기념관에서 가을 특별전 '혜곡의 영감(靈感) 2 - 우현 송영방을 기리며'를 연다.

혜곡 최순우 선생과 한국화가 고(故) 송영방(1936∼2021)의 인연을 기리는 자리다.

평소 작품의 중심이 '자연'이라고 밝혀왔던 송영방을 보여주는 여러 작품과 스케치, 영상 전시 등을 볼 수 있다. 생전 애장하던 수석과 마지막까지 사용했던 벼루 등도 볼 수 있다.

전시는 화∼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일·월요일과 추석 당일은 휴무다.

1930년대 지어진 근대 한옥인 혜곡최순우기념관(최순우 옛집)은 최순우 선생이 1976년부터 1984년까지 작고할 때까지 살던 집으로 내셔널트러스트 시민문화유산 제1호다.

공연 안내
공연 안내

[국립무형유산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국립무형유산원, '무형유산 예능풍류방' 공연 = 국립무형유산원은 이달 7일과 15일, 21일 세 차례에 걸쳐 전북 전주와 서울에서 '2022 무형유산 예능풍류방' 공연을 한다.

서로 다른 종목의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이 모여 새로운 공연을 창작하는 입주 활동 프로그램인 '무형유산 예능풍류방'의 성과물을 선보이는 자리다.

7일에는 '진도씻김굿' 이수자인 강은영 씨와 '살풀이' 이수자인 김수영 씨가 공동 연출한 무용극 '업의 경(鏡)'이 전주 국립무형유산원 얼쑤마루 소공연장에서 펼쳐진다.

'살풀이춤' 이수자인 강영미 씨와 '고성농요' 이수자 신명균 씨는 농부의 인생을 사랑, 치유, 풍랑, 화합 등으로 표현하며 처용의 춤사위를 더한 '해결사 처용'을 15일 같은 공간에서 선보인다.

서울 민속극장 풍류에서 21일 열리는 공연에서는 남사당놀이 이수자인 강향란 씨가 연출한 가무악극 '헬로(Hello), 봉구!'가 관객과 만난다.

관련 내용은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www.nihc.go.kr) 참고.

'한옥연차' 안내 포스터
'한옥연차' 안내 포스터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한국문화재재단, 14∼18일 '한옥연차' 팝업스토어 = 한국문화재재단은 이달 14일부터 18일까지 서울 북촌 한옥마을의 락고재 컬처 라운지에서 '한옥연차' 팝업스토어를 연다.

전통을 계승하는 공예품과 전통 문화상품을 소개하는 'K-문화상품' 판매 행사다.

한옥에서 즐기는 연차 휴가라는 콘셉트로 마련된 팝업스토어에서는 소형 가구와 1인용 식기류 등 의식주와 관련한 전통 공예품을 비롯해 100여 점의 상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유기장 이형근, 옹기장 정영락, 채상장 서신정 등 전통 장인의 작품도 만날 수 있다. 한식 디저트와 수제 유기농 차를 체험할 수 있는 '가을맞이 다과 한상 체험' 행사도 마련돼 있다.

관람료는 무료이나 시간대별 관람 인원이 한정돼 사전 예약해야 한다.

예약 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www.chf.or.kr) 참고.

ye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