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이사지왕'이 사용했을까…금관총서 나온 칼 3점 한자리에

송고시간2022-08-19 13:43

beta
세 줄 요약

경주 금관총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이사지왕'(尔斯智王)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칼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국립경주박물관은 19일부터 신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황금 유물이 다수 전시된 신라역사관 제2실에서 '이사지왕' 등의 글자가 새겨진 큰 칼 3점을 전시한다고 밝혔다.

신라의 무덤은 주인공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금관총에서는 '이사지왕'이라는 글씨를 새긴 칼이 출토돼 무덤 주인을 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국립경주박물관, 상설 전시…"신라 왕 이름 새긴 가장 오래된 유물"

전시 모습
전시 모습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경주 금관총에서 출토된 유물 가운데 '이사지왕'(尔斯智王)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칼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국립경주박물관은 19일부터 신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황금 유물이 다수 전시된 신라역사관 제2실에서 '이사지왕' 등의 글자가 새겨진 큰 칼 3점을 전시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신라 금관이 나온 금관총은 1921년 가옥 공사 중 우연히 발견됐다. 2013년과 2015년에는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에서 각각 '이사지왕'과 '이사지왕도'라는 명문이 확인된 바 있다.

관련 유물 2점은 국립중앙박물관에, 1점은 국립경주박물관에 각각 전시돼 있었는데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던 유물을 경주로 옮겨 금관총의 주요 출토품과 함께 볼 수 있도록 했다.

왕릉급 무덤으로 추정되는 금관총은 대표적인 신라 고분이다.

신라의 무덤은 주인공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금관총에서는 '이사지왕'이라는 글씨를 새긴 칼이 출토돼 무덤 주인을 추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

이사지왕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신라 상고기 왕 중 한 명으로 추정되나, 누구인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국립경주박물관 관계자는 "이사지왕이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칼로 볼 때 500년 직전 사망한 신라 왕 또는 최고위급의 왕족 중 한 사람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물관 측은 '이사지왕' 글씨가 새겨진 칼은 신라 왕의 이름을 새긴 가장 오래된 유물로서도 학술적 의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신라 왕의 이름은 '포항 냉수리 신라비'(503년 추정)에 나오는 것이 가장 오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이사지왕'은 그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사지왕' 등 글자가 새겨진 칼
'이사지왕' 등 글자가 새겨진 칼

왼쪽은 1921년 발굴품, 오른쪽은 2015년 재발굴품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