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포항공대 연구팀,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가능성 열어

송고시간2022-08-10 10:32

beta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가능성을 포착했다.

포항공대(포스텍) 생명과학과 김경태 교수·박사과정 오은지씨는 국내 신약개발업체인 노브메타파마와 공동연구를 통해 '페록시솜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PAR)'를 활성화하는 물질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새로 개발 물질 쥐 실험서 효과 확인

연구 관련 이미지
연구 관련 이미지

[포항공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가능성을 포착했다.

포항공대(포스텍) 생명과학과 김경태 교수·박사과정 오은지씨는 국내 신약개발업체인 노브메타파마와 공동연구를 통해 '페록시솜 증식체 활성화 수용체(PPAR)'를 활성화하는 물질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는 뇌 조직에 비정상적인 단백질 응집체가 만들어지고 만성 염증반응에 의해 신경세포가 손상되면서 인지 기능과 기억력이 점점 감소한다.

연구팀은 비만이나 이상 지질 혈증, 당뇨의 치료 표적으로 연구된 PPAR에 주목했다.

PPAR는 핵수용체의 한 종류로 유전자 전사조절부위에 결합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다.

전사인자는 특정 유전자의 전사(DNA의 유전 정보가 전령 RNA에 옮겨지는 과정) 조절 부위 DNA에 결합해 그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는 전사 조절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약물 개발 플랫폼으로 PPAR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을 개발했다.

이 화합물을 알츠하이머성 치매에 걸린 실험용 쥐 모델에 3개월간 투여한 결과 치매로 떨어진 기억력·인지 기능이 정상 실험용 쥐 모델만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뉴로테라퓨틱스에 실렸다.

김경태 교수는 "독성 검사와 구조-활성 관계 분석을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에 최적화된 약물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sds123@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