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제로 코로나 5년 더?' 베이징 당서기 관련 발언 삭제

송고시간2022-06-27 19:31

beta

중국 베이징시 당서기가 27일 코로나19 고강도 방역 정책이 향후 5년 지속될 것임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하자 온라인에서 거센 논란이 일었고 이에 관련 해시태그가 재빨리 검열되고 있다고 AP 통신이 보도했다.

AP는 북경일보의 애초 보도에 따르면 차이치 베이징시 당서기는 이날 열린 중국공산당 베이징시 13차 당 대회 보고에서 "향후 5년 안에 베이징은 단호하게, 끈질기게 전염병 예방 통제의 정상화에서 일을 잘 해낼 것"이라고 말했다.

북경일보의 해당 보도에는 현재 "향후 5년 안에"라는 문구가 없고,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는 '향후 5년'이라는 해시태그가 삭제됐다고 AP는 전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16일 중국 베이징의 코로나19 검사소. 2022.6.27.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16일 중국 베이징의 코로나19 검사소. 2022.6.27.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중국 베이징시 당서기가 27일 코로나19 고강도 방역 정책이 향후 5년 지속될 것임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하자 온라인에서 거센 논란이 일었고 이에 관련 해시태그가 재빨리 검열되고 있다고 AP 통신이 보도했다.

AP는 북경일보의 애초 보도에 따르면 차이치 베이징시 당서기는 이날 열린 중국공산당 베이징시 13차 당 대회 보고에서 "향후 5년 안에 베이징은 단호하게, 끈질기게 전염병 예방 통제의 정상화에서 일을 잘 해낼 것"이라고 말했다.

또 "베이징은 고품질의 정기적인 PCR(유전자증폭) 검사, 핵심 지역에서 검사를 시행하고 주거지, 직장, 공공 기관의 출입을 엄격히 점검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보도됐다.

그러나 북경일보의 해당 보도에는 현재 "향후 5년 안에"라는 문구가 없고,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는 '향후 5년'이라는 해시태그가 삭제됐다고 AP는 전했다.

웨이보에서 '향후 5년'을 검색하면 "관련 법과 규정, 정책에 따라 더 이상 그 주제를 표시할 수 없다"는 안내가 뜬다. 당국이 검열 대상에 대해 쓰는 표현이다.

베이징 주민들은 현재 공공장소나 식당 등을 이용할 경우 72시간 내 받은 코로나19 음성 확인서를 제시해야 한다.

중국 다른 지역에서도 '제로 코로나' 정책 속에서 봉쇄와 코로나19 정기 검사가 일상화되면서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pretty@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