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김치는 중국어로 '辛奇'(신치)"…서경덕, 구글에 정정 요청

송고시간2022-06-23 08:41

beta

김치를 자신들의 문화로 선전하는 중국의 '김치 공정'에 맞서 온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구글 번역기 사이트에서 김치의 중국어 번역 오류를 정정해 달라고 구글 측에 요청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을 개정하면서 '김치'의 올바른 중국어 표기를 '辛奇'(신치)로 명시했다.

그는 "지금까지 많은 곳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잘못 번역한 이유를 분석해 보니, 가장 큰 문제는 구글 번역기에서 아직도 '신치'가 아닌 '파오차이'로 돼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중국 '김치공정'에 대응…"염장 채소인 '泡菜'(파오차이) 번역은 잘못"

구글 번역기 사이트, 김치를 파오차이로 번역 오류
구글 번역기 사이트, 김치를 파오차이로 번역 오류

[구글번역사이트 캡처]

(서울=연합뉴스) 강성철 기자 = 김치를 자신들의 문화로 선전하는 중국의 '김치 공정'에 맞서 온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구글 번역기 사이트에서 김치의 중국어 번역 오류를 정정해 달라고 구글 측에 요청했다고 23일 밝혔다.

현재 구글 번역기에서 '김치'(한국어)와 'kimchi'(영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면 간체자 및 번체자 모두 '泡菜'(파오차이)로 번역한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을 개정하면서 '김치'의 올바른 중국어 표기를 '辛奇'(신치)로 명시했다.

서 교수는 지난 몇 달간 정부기관, 기업, 중국에서 활동하는 연예인 등이 김치를 '파오차이'로 잘못 번역한 것을 지적하고 정정 작업을 펼쳐왔다.

그는 "지금까지 많은 곳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잘못 번역한 이유를 분석해 보니, 가장 큰 문제는 구글 번역기에서 아직도 '신치'가 아닌 '파오차이'로 돼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정정 요청에서 김치와 파오차이는 엄연히 다른 음식이라는 걸 강조하고, 이른 시일 내에 '신치'로 정정해 달라고 요구했다.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四川) 지역에서 각종 채소를 소금물에 절여 만든 절임 음식으로, 서양의 '피클'에 가까워 김치와는 전혀 다른 맛을 낸다는 얘기다.

그는 김치의 올바른 번역을 위한 누리꾼들의 동참도 호소했다.

누리꾼들이 구글 번역기에서 '파오차이' 번역 결과를 확인하면 우측 하단에 있는 '번역 평가'를 클릭한 후 다시 '수정 제안하기'를 클릭, '泡菜'를 지우고 '辛奇'로 바꿔 구글 측에 제출하면 된다.

서 교수는 중국의 '김치 공정'에 맞서 뉴욕타임스에 김치 광고를 게재하고, 김치의 역사,·문화·세계화 등에 관한 다국어 영상을 제작하는 등 전 세계에 김치를 널리 알리고 있다.

wakaru@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