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반도체 계약학과 규제 푼다…산업체 전문가도 교수로 초빙(종합)

송고시간2022-06-15 16:51

beta

교육부가 반도체 산업 인력 양성을 위해 분야별, 수준별 인력 수요를 파악해 단계별 반도체 인력 양성 지원 방안을 다음 달 중 내놓을 계획이다.

교육부는 15일 오후 세종청사에서 민관 합동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 양성 특별팀' 첫 회의를 개최하고 인력양성 정책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교육부 차관 주재로 '반도체 인재양성 특별팀' 첫 회의

범부처 합동으로 인력수요 조사…학사제도 유연화 검토

반도체 인재양성 특별팀 회의에서 발언하는 장상윤 교육부 차관
반도체 인재양성 특별팀 회의에서 발언하는 장상윤 교육부 차관

(세종=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15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양성 특별팀 제1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2.6.15 kjhpress@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교육부가 반도체 산업 인력 양성을 위해 분야별, 수준별 인력 수요를 파악해 단계별 반도체 인력 양성 지원 방안을 다음 달 중 내놓을 계획이다.

교육부는 15일 오후 세종청사에서 민관 합동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 양성 특별팀' 첫 회의를 개최하고 인력양성 정책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특별팀은 장상윤 교육부 차관을 팀장으로 하고 교육부뿐 아니라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반도체 기업 등 기업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연구기관이 참여한다.

특별팀은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 양성 정책과제를 발굴·협의하고 정책이 현장의 요구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지 점검, 관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교육부가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 양성 지원방안 수립 추진 방향을 공유했다.

반도체와 같은 첨단 분야 인력양성의 경우 특성화고부터 전문대, 학부, 석사, 박사, 박사후연구원 등 여러 단계별 인력이 모두 필요한만큼 일단 여러 부처가 함께 정확한 인력 수요 파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범부처로 통계 인프라를 조성해서 반도체 분야별, 급별 어떤 인력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분석한 뒤 인력을 확보한다는 중장기 계획을 세웠다.

교육부는 특성화고졸, 전문대졸, 학부, 석·박사 등 어떤 인력이 어떻게 배치돼야 할지를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등과 함께 인력양성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이밖에도 교육부는 관계 부처에 반도체 계약학과 규제를 풀고 이 제도를 더 활성화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교육부는 현재 반도체 계약학과 입학정원의 20% 한도인 정원 외 선발을 50%로 늘리는 방안과 대학생들이 반도체와 관련된 학과를 복수전공과 부전공 등으로 선택해 학사제도를 유연화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이 중 학사제도 유연화는 지금도 충분히 시행할 수 있다는 것이 교육부 설명이다. 반도체 관련 학과가 아니더라도 화학·기계·산업공학 등을 전공하는 학생들도 반도체 관련 과목 2∼3개를 수강해 더 많은 학생이 전문 인력으로 배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도체 계약학과에서 계약 기업이 직원을 재교육시키는 경우 인근 대학에서 하도록 한 권역 제한을 완화해 우수한 교수가 있는 대학에서 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정원 확대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는 교원 확보와 관련해서는 현장 전문가를 교수로 초빙할 수 있도록 산업체 전문인력이 학교에서 교원으로 일한 후 다시 산업계로 자유롭게 복귀하는 방안 등을 검토한다.

교육부는 대학, 산업계,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범부처 협업을 통한 각종 제도와 사업 등을 활용해 다음 달 중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 양성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장상윤 차관은 "교육부는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중요한 책무로 인식하며 교육부의 핵심 업무로 추진해나갈 예정이다"며 "특별팀에서는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양성 지원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논의하고 인재양성 지원 정책이 현장의 요구대로 잘 추진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반도체 인재양성에 대한 여러 분야 전문가들의 소중한 제안들을 적극 검토해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dyle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