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올해 메모리반도체 전망, 우려에서 기대로…예상 성장률 1%→18%

송고시간2022-06-08 10:50

beta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업황 부진 우려를 깨고 지난해 대비 두 자릿수 수준의 견조한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작년보다 18.7%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올해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 폭이 우려했던 것보다 나쁘지 않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진입에도 메모리 수요가 견조한 점을 반영한 성장률 조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WSTS, 예상 성장률 상향…예상보다 작은 가격 하락폭 반영된 듯

전체 반도체 시장 성장률도 10%→16% 상향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클린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클린룸

[삼성전자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기자 =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업황 부진 우려를 깨고 지난해 대비 두 자릿수 수준의 견조한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올해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작년보다 18.7%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WSTS는 지난 3월 보고서에서 올해 메모리 시장 성장률을 작년 대비 1.1% 수준으로 전망했는데 3개월 만에 대폭 상향 조정한 것이다.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올해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 폭이 우려했던 것보다 나쁘지 않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진입에도 메모리 수요가 견조한 점을 반영한 성장률 조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메모리반도체 시장 규모는 지난해 1천538억달러(약 193조1천억원) 규모였고, 올해는 1천827억달러(약 229조4천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WSTS는 전망했다.

내년 메모리반도체 시장 성장률은 3.4% 규모로 예상됐다.

WSTS 반도체 시장 전망
WSTS 반도체 시장 전망

[WSTS 홈페이지 캡처. DB 및 재판매 금지]

메모리반도체 성장률 조정에 따라 올해 전체 반도체 시장 성장률도 기존 10.4%에서 16.3%로 상향 조정됐다.

올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는 6천465억달러(약 811조6천억원)로 예상된다.

전체 반도체 시장은 내년에도 5.1% 성장할 WSTS는 내다봤다.

올해 반도체 제품별 예상 성장률은 연산을 담당하는 로직 반도체가 20.8%로 가장 높았고 이어 아날로그(19.2%), 메모리(18.7%), 센서(15.7%) 등의 순이었다.

WSTS는 전 권역에서 반도체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지역별 예상 성장률은 북미 22.6%, 유럽 20.8%, 아시아·태평양 13.9%, 일본 12.6% 등이다.

한국과 대만이 속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전체 반도체 시장 매출의 60.4%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WSTS는 글로벌 반도체 수급 동향 조사기관으로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 미국 마이크론, 일본 소니·도시바, 대만 TSMC 등 전 세계 주요 반도체 업체 40여개를 회원사로 두고 있다.

kc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