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일본, 미사일·탄약 비축확대 검토…전투 지속력 향상 모색

송고시간2022-06-05 15:33

beta

일본 정부가 자위대가 보유·사용하는 미사일이나 탄약의 비축량을 확대하는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교도통신이 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달 미일 정상회담에서 표명한 방위비의 '상당한 증액' 방침을 토대로 연말에 새로 내놓을 중기방위력 정비계획(중기방)에 이런 구상을 반영할 것이라고 일본 정부 관계자가 밝혔다.

러시아의 침공과 이에 맞선 우크라이나의 저항을 지켜보면서 전투 지속 능력 개선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한 것이 미사일·탄약 비축 확대를 검토하는 배경이라고 교도는 전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중국 군비증강·대만 정세 의식해 난세이제도 방위력 강화 추진

사격하는 자위대 전차
사격하는 자위대 전차

(시즈오카=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 육상자위대가 전차가 2016년 8월 25일 시즈오카현 고텐바시 소재 히가시후지 연습장에서 열린 정례 훈련에서 사격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자위대가 보유·사용하는 미사일이나 탄약의 비축량을 확대하는 방향을 검토 중이라고 교도통신이 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달 미일 정상회담에서 표명한 방위비의 '상당한 증액' 방침을 토대로 연말에 새로 내놓을 중기방위력 정비계획(중기방)에 이런 구상을 반영할 것이라고 일본 정부 관계자가 밝혔다.

또 2023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예산안을 편성할 때 관련 비용을 증액하는 방안으로 조율한다.

이는 중국의 군비 증강이나 대만 해협을 둘러싼 정세가 급박해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서 규슈와 대만 사이에 활 모양으로 펼쳐진 섬들인 난세이(南西)제도의 방위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상이라고 교도는 진단했다.

일본 정부는 적 항공기나 순항미사일에 대응하는 대공미사일 외에 탄도미사일 방어용인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PAC3) 개량형, 함선이 외딴 섬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어뢰 등을 비축 확대의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다.

아울러 적 기지 공격 능력으로 전용(轉用)하는 방안이 거론되는 장사정 '스탠드오프 미사일'에 대해서도 외국산 미사일 취득 및 국산화(일본 내 생산)를 위한 연구비를 계속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자위대의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PAC3)
자위대의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PAC3)

[교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러시아의 침공과 이에 맞선 우크라이나의 저항을 지켜보면서 전투 지속 능력 개선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한 것이 미사일·탄약 비축 확대를 검토하는 배경이라고 교도는 전했다.

일본 정부는 전투를 계속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고 탄약을 차질없이 보급하는 것이 자위대가 유사(有事, 전쟁 등 긴급사태가 벌어지는 것)시 미군과 함께 대응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규정하고 있다.

일본의 탄약 구매 관련 비용은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방위성이 작성한 자료에 의하면 이 비용은 2014∼2018년 연평균 1천904억엔(약 1조8천억원)에서 2019∼2022년에는 연평균 2천266억엔(약 2조2천억원)으로 약 19% 늘어났다.

비축 확대 방침이 정식 결정되면 관련 예산이 더욱 늘어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비 경쟁이 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sewonle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