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유형재의 새록새록] '집 구하기 힘들어'…하늘다람쥐의 눈물

송고시간2022-05-30 08:00

beta

노송의 구멍에 해마다 둥지를 틀고 새끼를 부화하는 찌르레기 부부가 갑자기 분주해졌다.

강원 강릉시 외곽마을의 한가운데 아름드리 노송 30여 그루가 있는 쉼터 같은 공원에서 최근 벌어진 일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찌르레기 둥지 부근에서 집 구하려다 쫓겨나

찌르레기(오른쪽 위) 공격받는 하늘다람쥐
찌르레기(오른쪽 위) 공격받는 하늘다람쥐

[촬영 유형재]

(강릉=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노송의 구멍에 해마다 둥지를 틀고 새끼를 부화하는 찌르레기 부부가 갑자기 분주해졌다.

찌르레기 부부는 아름드리 노송 자신의 둥지 앞 그늘진 전봇대에서 육추에 지쳐 잠시 쉬던 중 갑자기 꽥꽥 소리를 지르며 돌진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둥지 아래 또 다른 구멍 앞에서 정지비행을 하며 위협을 가하는 소리를 지르거나 직접 구멍을 향해 공격하는 등 소란스러웠다.

잔뜩 움츠린 보호색의 하늘다람쥐
잔뜩 움츠린 보호색의 하늘다람쥐

[촬영 유형재]

이들은 잠시 후 또 한 차례 비슷한 행동을 했다.

강원 강릉시 외곽마을의 한가운데 아름드리 노송 30여 그루가 있는 쉼터 같은 공원에서 최근 벌어진 일이다.

그렇게 잠시 조용하더니 또다시 찌르레기 부부가 옆 소나무 아래 부근으로 소리를 지르며 돌진했다.

그제야 그들이 뒤쫓는 대상이 하늘다람쥐인 게 보였다.

도망가는 하늘다람쥐
도망가는 하늘다람쥐

[촬영 유형재]

하늘다람쥐는 한반도 내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종이다. 몸통 길이는 13∼20cm 정도로 작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돼 국가 차원의 보호를 받을 정도로 귀한 몸이다.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 털로 덮인 비막(飛膜)을 가지고 있어서 보통 7∼8m를 쉽게 활공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30m 이상을 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무 위로 도망가는 하늘다람쥐
나무 위로 도망가는 하늘다람쥐

[촬영 유형재]

그런 귀엽고 귀한 하늘다람쥐가 산을 벗어난 곳에서 찌르레기에게 쫓기는 신세가 된 것이다.

이날 하늘다람쥐는 집을 구하려고 사람들이 사는 마을 공원 쉼터까지 내려와 찌르레기가 둥지를 튼 노송의 다른 구멍을 알아보다가 봉변을 당한 것으로 보였다.

그 소나무에는 3개의 구멍이 있다.

하늘다람쥐가 쓰려던 구멍(맨 아래)
하늘다람쥐가 쓰려던 구멍(맨 아래)

[촬영 유형재]

맨 위는 찌르레기가 육추 중이고, 두 번째는 참새가 새끼를 이미 키워 냈고, 맨 아래 구멍을 하늘다람쥐가 둥지로 쓰려다 먼저 자리를 잡은 찌르레기에게 혼쭐이 난 셈이다.

하늘다람쥐는 딱따구리나 찌르레기 등이 나무에 파놓은 구멍이나 나무의 옹이가 빠지면서 자연스럽게 생긴 구멍에 주로 둥지를 튼다고 한다.

이미 다른 새가 둥지로 쓴 구멍을 쓰기도 한다.

급하게 도망가는 하늘다람쥐
급하게 도망가는 하늘다람쥐

[촬영 유형재]

찌르레기 부부는 다른 소나무로 긴급히 피신한 보호색의 하늘다람쥐를 용케 찾아내 끝까지 쫓으며 못살게 굴었다.

하늘다람쥐는 찌르레기 부부의 집요한 공격을 피해 나무 높이 쫓겨 달아나다가 시야에서 사라져 찾을 수 없었다.

자신의 새끼를 보호하기 위한 찌르레기의 본능적인 공격에 두 손 들고 집을 포기한 것으로 추정된다.

집 구하기는 사람이나 동물이나 모두 쉽지 않은 것 같다.

유난히 큰 하늘다람쥐의 눈이 이날 더 슬퍼 보였다.

도망가는 하늘다람쥐
도망가는 하늘다람쥐

[촬영 유형재]

yoo21@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