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고령층 가계대출 350조원 육박…절반 이상이 2금융권
송고시간2022-05-22 06:10
진선미 의원 "고령층 등 사회적 약자 위한 지원 정책 수립해야"
(서울=연합뉴스) 오주현 기자 = 60세 이상 고령층의 가계대출이 350조원에 육박하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제2금융권 대출인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업권별 대출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전 연령대의 가계대출 총액은 1천869조1천950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고령층(60세 이상) 대출이 349조8천24억원으로 전체의 19%를 차지했다.
특히 고령층의 가계대출 가운데 제2금융권에서 실행된 대출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연령대의 가계대출 총액 가운데 제2금융권 대출은 41.2%(771조6천25억원)를 차지했지만, 고령층의 제2금융권 대출 비중은 54%(191조9천14억원)에 달했다.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정부가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해 금융권의 가계대출을 전방위로 옥죄면서 자금 조달이 막힌 실수요자의 비명이 커지고 있다.
은행권에서 꼭 필요한 중도금 대출이나 전세대출, 신용대출이 막힌 고신용자들이 제2금융권으로 이동하면서 저소득층이나 취약계층이 제도 금융에서 밀려날 가능성도 있다.
사진은 29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새마을금고에 부착된 대출 안내문. 2021.9.29 seephoto@yna.co.kr
고령층의 가계대출 보유자 수와 총액 역시 증가세를 보인다.
작년 12월 말 기준 고령층 가계대출 보유자 수는 395만6천명으로 2년 전인 2019년 연말 대비 12.2% 늘었고, 총액은 15.6% 증가한 345조8천148억원이었다.
특히 같은 기간 고령층 제2금융권 대출 보유자(328만8천460명)는 13.8%, 총액(189조9천118억원)은 18.3% 늘며 각각 전체 업권 증가율을 상회했다.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에 대출을 보유한 차주) 증가율 역시 고령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작년 12월 말 기준 고령층 다중채무자 수는 54만8천명으로, 2019년 12월 말 대비 16.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연령대 증가율인 5.3%(427만4천명→450만2천명)를 크게 상회했다.
진 의원은 "코로나19와 은행권 대출 규제 정책이 맞물려 제2금융권 부채가 늘어난 것은 뼈아픈 현상"이라며 "고령층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의 대출 목적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지원 정책을 세밀하게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viva5@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5/22 06:1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