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포항공대 등 국내외 연구진, 위장 점막 치유 유전자 발견

송고시간2022-05-10 15:49

beta

상처 난 위장 점막을 치유하는 유전자를 국내외 연구진이 공동으로 발견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생명과학과 김종경 교수, 이지현·한승민 박사, 박사과정 김소미씨 연구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연구단 구본경 부연구단장, 미국 밴더빌트대 최은영 교수와 공동으로 p57 유전자가 위장주세포 활성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진은 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위장 표피 조직에 상처가 나면 p57 유전자가 줄면서 위장주세포가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연구팀 "p57 유전자가 위장 줄기세포 활성 조절"

포항공대 김종경 교수
포항공대 김종경 교수

[포항공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상처 난 위장 점막을 치유하는 유전자를 국내외 연구진이 공동으로 발견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생명과학과 김종경 교수, 이지현·한승민 박사, 박사과정 김소미씨 연구팀이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연구단 구본경 부연구단장, 미국 밴더빌트대 최은영 교수와 공동으로 p57 유전자가 위장주세포 활성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위장주세포는 위장에 있는 줄기세포다. 일반적으로 활동하지 않다가 조직에 상처가 나면 활발하게 치료를 돕는다고 알려졌다.

다만 어떤 유전자 때문에 위장주세포가 움직이는지는 그동안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위장 표피 조직에 상처가 나면 p57 유전자가 줄면서 위장주세포가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평소에는 p57 유전자가 위장주세포 활성화를 막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셀 스템 셀'에 실렸다.

sds123@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