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靑 홈페이지 문닫고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국민청원 종료

송고시간2022-05-09 22:29

beta
세 줄 요약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9일로 마무리되면서 청와대 홈페이지도 사실상 운영이 종료됐다.

문재인 정부를 포함해 역대 정부의 청와대 기록들은 이제 기존의 청와대 홈페이지가 아니라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에 보관되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도입한 청와대 국민청원도 운영이 종료됐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N번방 청원' 등 순기능…"진영 대결의 장" 지적도

문재인 대통령이 4월 29일 청와대 여민관 집무실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반대 등 국민청원 답변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이 4월 29일 청와대 여민관 집무실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반대 등 국민청원 답변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9일로 마무리되면서 청와대 홈페이지도 사실상 운영이 종료됐다.

청와대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자료들이)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됐다'는 안내만 접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를 포함해 역대 정부의 청와대 기록들은 이제 기존의 청와대 홈페이지가 아니라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에 보관되는 것이다.

특히 윤석열 당선인이 대통령집무실을 용산으로 옮기고 청와대를 공원으로 조성하기로 한 만큼, 앞으로도 대통령비서실 온라인 창구로서의 '청와대 홈페이지'는 더는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정부에서 도입한 청와대 국민청원도 운영이 종료됐다.

임기 초부터 현재까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약 110만건 이상의 청원이 올라왔다.

2017년 8월 19일에 시작된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올해 2월까지 총 5억1천600만명이 방문했다. 하루 방문자 수는 평균 31만1천800만명으로, 일일 평균 670건의 청원이 게시됐다.

같은 기간 누적 동의자 수는 총 2억2천900만명이었다.

'텔레그램 N번방' 관련 청원이 범정부 합동 디지털 성범죄 근절 대책 수립과 성폭력 처벌법 개정 등으로 이어지는 등 국가 정책 수립에도 역할을 해왔다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시간이 갈수록 자극적인 청원이 관심을 끄는 빈도가 높아지고, 또 진영 대결의 장으로 활용되며 여야 강성 지지층의 세과시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hysup@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