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인천서 5년간 250명 산재 사망…민주노총 "구조적 살인"

송고시간2022-04-28 13:17

beta
세 줄 요약

최근 5년간 인천에서 산업재해로 숨진 노동자가 200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인천본부는 세계 산재사망 추모의 날인 28일 인천시 미추홀구 중부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됐지만, 전국에서 노동자 사망이 잇따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에 따르면 인천에서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250명이 숨졌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중대재해법(CG)
중대재해법(CG)

[연합뉴스TV 제공]

(인천=연합뉴스) 최은지 기자 = 최근 5년간 인천에서 산업재해로 숨진 노동자가 200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인천본부는 세계 산재사망 추모의 날인 28일 인천시 미추홀구 중부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됐지만, 전국에서 노동자 사망이 잇따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조에 따르면 인천에서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250명이 숨졌다. 이는 6대 광역시 중에서 부산 다음으로 많은 수치로, 인구 규모가 비슷한 대구와 비교하면 2.6배 수준이다.

올해 들어 인천에서는 현재까지 모두 13명이 사망했으며 이 중 5명은 이달 숨졌다.

지난 26일에는 인천국제공항 정비소에서 항공기 견인 차량 누유 여부를 점검하던 A(37)씨가 차체와 바퀴 사이에 끼여 숨졌다.

지난 25일에도 인천시 부평구 한 저장고에서 옥수수 하차와 저장 작업을 하던 B(57)씨가 옥수수 더미에 깔려 숨진 채 발견됐다.

민주노총 인천본부는 "인천에서 올해 발생한 13건의 중대 재해는 추락·끼임·맞음 등의 재래식 사고"라며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노동자가 위험 업무를 중단할 수 있는 작업중지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이러한 중대 재해는 노동자 과실에 의한 우연한 사고가 아니라 위험한 구조를 만들고 방치해 발생하는 기업의 구조적인 살인"이라며 "중대재해법을 모든 사업장에 전면 적용하도록 즉각 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hams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