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코로나 3년차 맞은 미국, 이제는 실내 환기에 주목"

송고시간2022-04-11 17:03

beta
세 줄 요약

코로나19 대유행 3년째에 접어든 미국에서 그간 간과됐던 환기의 중요성이 주목받기 시작했다고 미국 CNN방송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할 때는 백신과 치료제 개발, 거리두기 등이 강조됐는데 어느덧 엔데믹으로 향하면서 환기의 필요성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면서 사회가 기존에 간과했던 환기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것이라고 진단한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정부 캠페인에 전국 교육구도 학교 환기시설 확충 나서

전문가 "환기 잘 하면 바이러스 감염 줄일 수 있어"

[수능]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수능]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수원=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2020년 12월 3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의 한 시험장에서 관계자가 1교시 종료 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고 있다. 2020.12.3. xanadu@yna.co.kr [위 사진은 본문과 관련 없음]

(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 코로나19 대유행 3년째에 접어든 미국에서 그간 간과됐던 환기의 중요성이 주목받기 시작했다고 미국 CNN방송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할 때는 백신과 치료제 개발, 거리두기 등이 강조됐는데 어느덧 엔데믹으로 향하면서 환기의 필요성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미 백악관은 지난달 23일 성명에서 "실내 공기질 개선이 공기를 통한 감염병과 싸우는 중요한 수단이라는 사실을 파악했다"며 '깨끗한 건물 실내 공기 챌린지'(a Clean Air in Buildings Challenge)를 시작했다.

미 환경청(EPA)의 기준대로 건물주와 관리인이 실내 공기질을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촉구하는 캠페인으로, 환기를 통한 공기 정화 조치를 강화하는 내용이 골자다.

최근 미 전역의 교육구도 연방 정부의 지원을 토대로 학교 실내 공기질 개선 조치에 나섰다.

지난달 초 애틀랜타공립학군(APS)은 정부 지원을 통해 지구 내 모든 교실에 설치할 수 있는 5천개가량의 공기여과 장치를 확보했다.

뉴햄프셔 맨체스터 교육구도 냉난방·환기 시설을 개선하는 데 3천500만달러(약430억원)를 투입했다.

미 조지타운대학 맥코트 공공정책대학원의 분석에 따르면 2월까지 전국 3천여개 교육구에서 44억달러(약 5조4천억원)의 예산을 학교 냉난방·환기 시설 분야에 배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11월 네덜란드의 한 학교에서 창문을 여는 교사
지난해 11월 네덜란드의 한 학교에서 창문을 여는 교사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위 사진은 분문과 관련없음]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면서 사회가 기존에 간과했던 환기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 것이라고 진단한다.

조지프 앨런 하버드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교수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실내에서 활동하는 종으로 하루 90%를 실내서 보낸다"면서 "감염병이 나도는 상황이 아니라도 실내 공기는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그간 대중의 관심을 받는 부분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실내에 있는 모든 사람은 지속적으로 타인의 폐에 들어갔다 나온 공기를 호흡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환기 상태에 따라 들이마시는 실내 공기의 3∼4%에 달하는 양이 타인의 폐에서 막 튀어나온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모두가 건강한 상태라면 괜찮지만 누군가가 아프거나 병에 감염됐다면 에어로졸을 통해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어서 문제가 된다"고 말했다.

미국 난방냉동공조학회(ASHRAE)에서 감염병 테스크포스를 이끄는 막스 셔먼도 "실내 공기는 계속 순환하기에 바이러스가 담긴 입자가 멀리 퍼질 수 있다"면서 "(환기를 통해) 이런 입자 수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앨런 교수도 "야외에서는 사실상 환기가 무한하게 이뤄지는 상태라 전파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면서 환기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CNN은 "가장 쉽고 저렴한 환기 방법은 집의 창문을 여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자 현미경 영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자 현미경 영상

(서울=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학명 SARS-CoV-2)가 에어로졸(aerosols) 상태에서 3시간까지 살아남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질병통제센터(CDC), 프린스턴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등의 연구진이 2020년 3월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사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자 현미경 영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노란색)가 세포 표면(청색·분홍색)에 몰려 있다. 미국 확진자의 검체를 실험실에서 배양한 것. 2020.3.18 [미 NIH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pual07@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