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UNIST, 소리 듣는 인공피부로 로봇 조종하는 기술 개발

송고시간2022-03-27 14:02

beta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인공피부로 로봇을 조종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고현협(에너지화학공학과) ·김재준(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사람의 동작, 촉감, 소리 등을 인식해 기계에 전달하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달팽이관 모방해 다양한 주파수 영역 신호 선택적으로 인식

인공피부 센서 기반 조종 기술의 특징과 응용 분야를 나타낸 그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인공피부 센서 기반 조종 기술의 특징과 응용 분야를 나타낸 그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인공피부로 로봇을 조종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고현협(에너지화학공학과) ·김재준(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사람의 동작, 촉감, 소리 등을 인식해 기계에 전달하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이 인터페이스는 귓속의 달팽이관 구조를 모방한 인공피부 센서를 기반으로 한다.

두께, 다공성, 면적 등이 서로 다른 마찰 전기 센서 여러 개가 연속적으로 붙어 있는 형태다.

두께와 너비, 단단함 정도가 부위별로 다른 달팽이관 기저막이 소리를 주파수별로 구분해 받아들이는 원리를 응용했다.

센서의 이러한 특성 덕분에 사람의 동작처럼 느리게 반복되는 저주파 신호뿐만 아니라 빠르게 진동하는 소리, 촉감 같은 고주파 신호도 낮은 신호 대 잡음비로 기계에 모두 전달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센서 내부 구조를 특수하게 설계해 기존 평면 형태 센서보다 압력 민감도가 최대 8배 향상했다.

인식 주파수 대역폭도 45∼9천㎐로 사람의 심전도 신호(0.5∼300㎐), 근전도 신호(50∼3천㎐), 심음도 신호(20∼2만㎐), 목소리(100∼400㎐)와 같은 생체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외부 소음 환경에서도 머신러닝을 통해 95% 정확도로 사람 목소리만 인식할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이 센서를 활용한 아바타 로봇 손 제어 기술, 스마트 햅틱 장갑 등 응용 기술을 선보였다.

소리로 아바타 로봇 손을 조종하는 시연에서는 주파수를 바꿔 손동작을 조종할 수 있었고, 사용자가 스마트 햅틱 장갑을 끼고 움직이면 아바타 로봇 손이 그대로 따라 했다.

유리, 종이, 실크 등 8가지 다른 물질의 질감도 93% 정확도로 인식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버튼이나 키보드를 누르는 대신 정보를 직관적으로 기계에 전달하는 방식의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라며 "센서가 얇고 부착 가능해 다양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사물인터넷(IoT) 기술에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과학협회(AAAS)에서 발행하는 '사이언스'(Science)의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25일 자로 게재됐다.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이엠텍,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yongta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