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우크라를 가다] 영화 모가디슈처럼…한국대사관 키이우 탈출기

송고시간2022-03-22 08:07

beta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부 체르니우치의 임시 대사관에서 만난 김형태 주우크라이나 대사는 수도 키이우(키예프)를 빠져나오던 당시를 떠올리며 고개를 저었다.

김 대사가 전한 주우크라이나 한국대사관의 키이우 탈출기는 영화 '모가디슈'를 떠올리게 했다.

모가디슈는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당시 수도 모가디슈에 고립됐던 한국 대사관 직원들이 목숨을 걸고 소말리아를 빠져나오는 과정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눈앞서 기관총 소리…전속력 질주 탱크에 깔릴 뻔하기도

김형태 대사는 마지막에 만삭 산모와 함께 출발

태극기 덕에 검문소 신속통과…현지인 피란 차량 20여대 합류하기도

태극기를 부착한 채 키이우를 빠져 나오는 주우크라이나 대사관 일행
태극기를 부착한 채 키이우를 빠져 나오는 주우크라이나 대사관 일행

[주우크라이나 한국대사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체르니우치[우크라이나]=연합뉴스) 김승욱 특파원 = "말도 마세요. 우리 직원들 전부 영화 한 편씩 다 찍었죠."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부 체르니우치의 임시 대사관에서 만난 김형태 주우크라이나 대사는 수도 키이우(키예프)를 빠져나오던 당시를 떠올리며 고개를 저었다.

김 대사가 전한 주우크라이나 한국대사관의 키이우 탈출기는 영화 '모가디슈'를 떠올리게 했다.

모가디슈는 1991년 소말리아 내전 당시 수도 모가디슈에 고립됐던 한국 대사관 직원들이 목숨을 걸고 소말리아를 빠져나오는 과정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김 대사를 비롯한 주우크라이나 대사관 직원들의 탈출기는 31년 전 선배들의 경험 못지않게 긴박했다.

개전 사흘째인 지난달 26일 키이우에서 교민을 이끌고 체르니우치로 향하던 성기주 영사는 출발하자마자 위기에 닥쳤다.

차량 행렬의 바로 앞 사거리에서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 사이 총격전이 벌어진 것이다.

개전 26일째인 이날까지 러시아군은 공식적으로 키이우에 진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는 개전 당일부터 수도에 잠입해 있던 러시아 공작원과 우크라이나군 간 시가전이 벌어졌다고 한다.

"산발적으로 총소리가 나는 것도 아니고, 바로 앞에서 기관총 소리가 '타타당'하고 계속 나더라고요. '잘못하면 죽겠구나' 싶어서 바로 방향을 틀었죠."

성 영사에 앞서 하루 일찍 교민 20여 명과 함께 키이우를 떠난 김현우 전문관은 체르니우치에 도착할 때까지 지근거리에서 세 번 포성을 들었다.

우크라이나군 탱크 5대가 전속력으로 달려오는 바람에 교민 차량이 탱크에 깔릴 뻔한 적도 있었다.

천신만고 끝에 루마니아 국경에 도착할 때까지 무려 30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평소라면 8시간이면 갈 거리였다.

태극기를 부착한 채 우크라이나 국경 검문소를 통과하는 한국 대사관 차량
태극기를 부착한 채 우크라이나 국경 검문소를 통과하는 한국 대사관 차량

[주우크라이나 한국대사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 대사는 눈이 내리던 지난 2일 마지막으로 키이우의 대사관을 떠났다. 김 대사의 일행에는 만삭의 산모도 있었다.

임신 8개월의 산모를 뒷자리에 태운 채 운전대를 잡은 대사관 직원은 "산모와 태아가 걱정돼 조마조마했다"며 당시의 심경을 전했다.

머나먼 타향에서 피란길에 오른 대사관 직원과 교민 일행에게 가장 큰 힘이 된 것은 다름 아닌 태극기였다고 했다.

차량 앞뒤 유리창에 부착한 태극기의 '위력'은 대단했다.

다른 차량은 통과하는 데 2시간 이상 걸리던 검문소를 아무런 제지를 받지 않고 통과하는가 하면, 현지 경찰이 대사관 직원과 교민 차량을 에스코트해주기도 했다.

이를 본 우크라이나 현지인 피란 차량 20여 대가 한국 차량 대열에 합류하기도 했다.

영화 속 소말리아 대사관 직원들은 총알을 막기 위해 두꺼운 책으로 차를 감싼 채 대사관을 떠났는데, 현실에서는 태극기가 우리 일행을 지켜준 셈이다.

김 대사는 "우크라이나에서 한국의 위상은 대단히 높다"며 "우크라이나만큼이나 힘든 역사를 겪은 한국이 어려움을 딛고 번영을 이룩한 점을 높게 평가하고, 한국을 배워야 할 나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형태 주우크라이나 대사
김형태 주우크라이나 대사

(체르니우치[우크라이나]=연합뉴스) 김승욱 특파원 =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부 체르니우치의 임시 대사관에서 만난 김형태 주우크라이나 대사가 키이우 탈출 당시의 긴박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2022. 3. 21. kind3@yna.co.kr

아울러 개전 직후부터 교민의 대피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철저한 사전 대비가 큰 몫을 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여행경보가 3단계로 격상된 1월 25일 기준 우크라이나에 머무르던 한국인은 총 565명으로 집계됐다.

주우크라이나 대사관은 매일 교민 단체대화방을 이용하거나 직접 통화를 시도해 출국을 권유했고, 그 결과 우크라이나 전역에 4단계 여행금지 조처가 내려진 2월13일까지 약 250명이 우크라이나를 출국했다.

2월 14일부터 개전 당일인 2월 24일 사이에는 180여 명에 달하는 선교사를 포함해 210명가량이 출국해 우크라이나 내 한국인의 수가 100명 이하로 줄었다.

현재 우크라이나에 잔류한 교민은 총 25명으로, 대부분 현지인과 결혼하거나 생계 등의 이유로 출국이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고 한다.

김 대사는 "우크라이나에 남아 있는 교민과는 하루에 2번 이상 연락하고 있다"며 "전쟁 발발 전 선교사협회 등 교민 단체들이 솔선수범하는 모습을 보이며 출국해준 덕분에 남은 교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힘을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kind3@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