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이재명 '우크라 발언' 직격 "우리가 日 자극해 식민지 됐나"
송고시간2022-02-27 18:41
포항 유세…"외국 원수 모독해 외국 인터넷에서 개망신 떨어"
"북한 도발 하는데 종전선언 외치며 北에 아부하면 안보 지켜지나"
"성인지 감수성 예산이 30조원, 그중 일부만 떼도 북핵 위협 막아"

(포항=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7일 경북 포항시 북포항우체국 앞에서 열린 유세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2022.2.27 [공동취재] uwg806@yna.co.kr
(서울·포항=연합뉴스) 이유미 이동환 기자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27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우크라이나' 발언 논란과 관련해 "우리가 한 말이 일본을 자극해서 (우리가) 일본의 식민지가 됐나"라고 반문했다.
윤 후보는 이날 경북 포항 북포항우체국 앞에서 진행된 유세에서 "(이 후보가) 힘도 없는 우크라이나가 얌전하게 있지 러시아를 자극해 공격받았다고 하지 않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 후보가 TV 토론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우크라이나에서 6개월 된 초보 정치인이 대통령이 돼서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을 공언하고 러시아를 자극하는 바람에 결국 충돌했다"고 발언한 것을 꼬집은 것이다.
윤 후보는 "경험 없는 대통령이 러시아를 자극해 이렇게 됐다고 외국 국가원수를 모독하고 대한민국 정치판에 소환, 외국 인터넷에서 개망신을 떨고 있다"고 이 후보를 비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의 오래된 정치인들, 고위 관료들은 러시아가 침공하니 전부 국외로 도망갔지만, 초심자인 대통령이 국민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결사 항전 하고 있다. 우리가 격려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항=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7일 경북 포항시 북포항우체국 앞에서 열린 유세에서 어퍼컷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2022.2.27 [공동취재] uwg806@yna.co.kr
북한이 이날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쏘며 무력 도발을 재개한 것을 두고도 "이런 도발을 하고 있는데 종전선언만 외치며 북에 아부하면 우리 안보가 지켜지고 국민 안전이 보장되느냐"며 여권의 대북 정책을 비판했다.
윤 후보는 "북한이 비대칭 전력인 핵을 개발, 미사일로 탑재해 남한을 공격하려고 차곡차곡 준비해나가고 있는데 민주당 정치인들은 '재래식 전력이 (남한보다) 떨어져 균형을 맞추기 위해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떠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건 한방이면 나라가 날아가는 것인데 허무맹랑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대한민국 군 통수권자가 될 자격이 있나. 우리가 대북 미사일 방어망을 겹겹이 물 샐 틈 없이 준비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외쳤다.
또 "이 정부가 성 인지 감수성 예산을 30조원 썼다고 알려졌다. 그중 일부만 떼어도 우리가 저런 핵 위협을 안전하게 중층적으로 막아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윤 후보는 이 후보의 정치개혁 공약에 대해선 "정권교체 여론 물타기"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앞서 내놓은 '3선 초과 연임 금지' 입장에 대해서도 소급 적용이 어려운 점을 꼬집으며 "4선, 5선은 계산할 때 초선으로 한다는 것"이라며 "엉터리 같은 짓거리를 1차 쇼와 2차 쇼로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윤 후보는 "포항에, 울산에 갈 때마다 늘 생각나는 분이 박정희 대통령"이라며 "모래 허허벌판에 제철소를 세워서 지금 대한민국이 이만큼 왔다"고 언급했다.
또 "우리 박정희 대통령께서 정말 잘하신 게 또 하나 있다"며 동남권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탈원전에서 좀 복귀하는듯한 정책을 발표했죠? 자기들의 탈원전 정책이 잘못됐음을 시인하는 것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지역 현안인 포스코 이전 문제와 관련해선 "서울로 가는 것은 포항시민들이 얼마나 허탈하겠느냐"며 "제가 잘 챙겨서 포스코와 포항시민이 다 같이 윈윈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7일 경북 포항시 북구 신흥동에서 열린 유세에서 어퍼컷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2022.2.27 [공동취재] uwg806@yna.co.kr
yumi@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2/27 18:41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