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지원연 "미세플라스틱이 하수처리 효율 떨어뜨려"
송고시간2022-01-12 16:20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전 세계가 미세플라스틱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가운데 미세플라스틱이 하수·폐수 처리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12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센터 정슬기 박사 연구팀 등은 하수·폐수 내 질소 성분을 분해하는 미생물과 미세플라스틱의 상호작용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미생물을 50㎚(나노미터·100만분의 1㎜)와 500㎚ 크기의 미세플라스틱 폴리스타이렌(PS)에 노출시켰는데, 500㎚와 달리 50㎚ PS에 노출된 경우 질소 성분 분해 효율에 영향을 주는 아질산염과 질산염 생성이 저하됐다.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질소 같은 영양염류 제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 입자 대부분이 미생물 체내로 들어가지 않고, 주변에 별도로 분포하는 사실도 확인했다.
정슬기 박사는 "미세플라스틱이 미생물에 흡수되지 않아도 하수·폐수 처리 효율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하수처리시설의 미세플라스틱 제거와 효율적인 관리 방안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과학분야 학술지인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티리얼스'(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50㎚(나노미터) 폴리스타이렌(PS)에 노출된 경우 아질산염과 질산염 생성이 500㎚ PS 노출군에 비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kjunho@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1/12 16:2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