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고발사주' 의혹 김웅 의원, 12시간 공수처 조사 후 귀가

송고시간2021-11-03 22:23

beta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3일 이른바 '고발 사주' 의혹 사건의 핵심 인물인 국민의힘 김웅 의원을 불러 조사했다.

이날 오전 9시 45분께 정부과천청사 공수처 건물로 출석한 김 의원은 12시간가량 흐른 오후 9시 30분께 공수처를 떠났다.

김 의원은 지난해 4월 손준성 당시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과 공모해 두 차례에 걸쳐 여권 인사들에 대한 고발을 사주한 혐의를 받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결정적인 이야기는 없어…녹취록 악마의 편집" 주장

공수처 나서는 김웅 의원
공수처 나서는 김웅 의원

(과천=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이른바 '고발 사주' 의혹 사건과 관련해 정치권 창구로 지목된 국민의힘 김웅 의원이 3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 조사를 받은 뒤 밖으로 나서고 있다. 2021.11.3 2vs2@yna.co.kr

(과천=연합뉴스) 이대희 최재서 기자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3일 이른바 '고발 사주' 의혹 사건의 핵심 인물인 국민의힘 김웅 의원을 불러 조사했다. 공수처 출범 이후 첫 현직 국회의원 소환 사례다.

이날 오전 9시 45분께 정부과천청사 공수처 건물로 출석한 김 의원은 12시간가량 흐른 오후 9시 30분께 공수처를 떠났다.

그는 대기하고 있던 취재진과 만나 "기억나는 건 기억 나고 기억나지 않는 건 안 난다고 이야기했다"며 "(혐의를 입증할 만한) 결정적인 얘기는 이쪽이나 저쪽이나 없었다"고 조사에 관해 설명했다.

제보자 조성은 씨가 공개한 녹취록에 대해서는 "(조사에서) 내용을 전체적으로 봤는데 상당한 악마의 편집이 있었다는 느낌이 들었다"며 "(해당 녹취록에 대한) 열람 등사를 신청했기에 나오면 다시 말할 기회가 있을 텐데, 고발 사주가 얼마나 허무맹랑한 것인지 상식이 있으신 분이라면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 의원은 지난해 4월 손준성 당시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과 공모해 두 차례에 걸쳐 여권 인사들에 대한 고발을 사주한 혐의를 받는다.

손 검사의 공동정범으로 입건되면서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공무상비밀누설, 개인정보 보호법·형사절차전자화법·공직선거법 위반 혐의가 적용된 상태다.

공수처는 이날 조사에서 '김웅-조성은' 녹취록을 토대로 김 의원이 조씨에게 고발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검찰과 사전에 공모했는지를 집중 추궁했다.

특히 김 의원과 조씨 사이에서 텔레그램으로 오갔던 고발장 등 관련 자료에 '손준성 보냄'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는 점을 근거로 손 검사의 개입 여부와 경위에 대해서도 물었다.

하지만 김 의원은 그동안의 입장처럼 고발장을 누가 전달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녹취록에서 김 의원이 언급한 '저희'라는 말을 두고 검찰을 지칭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나왔지만, 김 의원은 최소한 검찰을 뜻하는 건 아니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전날 손 검사에 이어 김 의원까지 사건의 핵심 인물들에 대한 소환 조사를 마무리한 공수처는 두 사람의 진술에서 모순되는 지점이 있는지를 면밀히 분석할 것으로 보인다.

공수처는 이를 토대로 추가 압수수색 등 강제 수사를 통해 사건의 추가 단서 확보를 시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지금까지 '성명불상'으로 남아 있는 고발장 작성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총력을 쏟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수처는 손 검사에 대한 추가 소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만큼, 두 사람을 동시에 불러 대질 조사를 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

'고발사주' 의혹 김웅 공수처 출석
'고발사주' 의혹 김웅 공수처 출석

(과천=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이른바 '고발 사주' 의혹 사건과 관련해 정치권 창구로 지목된 국민의힘 김웅 의원이 3일 오전 조사를 받기 위해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로 들어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해 4월 손준성 당시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과 공모해 두 차례에 걸쳐 여권 인사들에 대한 고발을 사주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공직선거법 위반)를 받는다. 2021.11.3 [공동취재] seephoto@yna.co.kr

2vs2@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