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어지는 한·미 증시 간극…2011년 2월 이후 최대
송고시간2021-11-02 06:23
10월 코스피 3.2%↓, S&P500 6.9%↑…"공급난 해소 관건"
(서울=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한미 증시 간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이 심화하면서 이러한 추이가 계속 이어질지 주목된다.
2일 금융정보업체 인포맥스에 따르면 지난 10월 한 달간 코스피는 3.20% 하락한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6.91% 올랐다.
이에 따라 두 나라의 대표 지수 간 차이(S&P500지수 등락률에서 코스피 등락률을 뺀 값)는 10.11%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월간 기준으로 2010년대 이후 최대 수준이다. 이전 최대는 2011년 2월에 기록한 9.50%포인트였다.
지난달 코스피는 6개월만에 3,000선을 밑돌았다. 반면 S&P500지수는 4주 연속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지난 5∼6월만 해도 소폭 우위를 점하던 코스피는 7월에 2.86%, 8월에 0.10% 하락하며 S&P500 지수 대비 각각 5.13%포인트, 3.00%포인트 뒤졌다. 지난 9월에는 코스피와 S&P500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그러다 지난달 코스피는 재차 떨어지고 S&P500지수는 반등하면서 디커플링이 심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두 나라 증시 간 간극이 벌어진 배경에는 공급망 병목 현상에 따른 우려가 꼽힌다.
이베스트투자증권에 따르면 경기민감업종(시클리컬), 정보기술(IT), 자동차 등 공급망 차질과 관련된 업종 비중이 S&P에서는 28.8%지만 유가증권시장에서는 58.9%였다.
이에 공급망 병목 현상에 대한 우려가 국내 증시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설명이다.
경기 여건 측면에서도 미국의 상대적 우위가 이어지고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지난 3분기 연율로 환산하지 않은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0.5%로 한국 성장률(0.3%)을 소폭 앞섰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한미 간 증시 차별화 현상의 원인으로는 성장 모멘텀(동력) 차이를 들 수 있다"며 "3분기 미국과 한국 간 성장률 격차가 0.2%포인트로 2분기 차이인 0.9%포인트에 비해 둔화했지만 성장 모멘텀 측면에서 미국이 우위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의 채무불이행 위험 등 중국발(發) 리스크,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등 긴축 리스크도 차별화 현상을 낳는 요인으로 꼽힌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디커플링이 해소되기 위해서는 중국발 리스크 및 공급망 병목 현상의 해소를 확인해야 한다고 증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박상현 연구원은 "사실상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에 접어든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진정돼야 한미 간 증시 차별화 현상도 완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공급망 차질의 조기 해소도 주목해야 할 변수"라고 짚었다.
일각에서는 디커플링 해소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강대석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국내 증시의 간극이 벌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 차이가 좁혀질 만한 계기가 아직 마땅치 않다"며 "코스피가 지난 2주 이상 바닥을 다지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는 점은 그래도 긍정적이나, 상승 탄력을 회복하기까지는 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표] 최근 1년간 월별 코스피 및 S&P500 지수 등락률
코스피 | S&P500 | ||||
연월 | 종가 | 등락률(%) | 종가 | 등락률(%) | *차이(%포인트) |
2021/10 | 2,970.68 | -3.20 | 4605.38 | 6.91 | 10.11 |
2021/09 | 3,068.82 | -4.08 | 4307.54 | -4.76 | -0.68 |
2021/08 | 3,199.27 | -0.10 | 4522.68 | 2.9 | 3.00 |
2021/07 | 3,202.32 | -2.86 | 4395.26 | 2.27 | 5.13 |
2021/06 | 3,296.68 | 2.90 | 4297.5 | 2.22 | -0.68 |
2021/05 | 3,203.92 | 1.78 | 4204.11 | 0.55 | -1.23 |
2021/04 | 3,147.86 | 2.82 | 4181.17 | 5.24 | 2.42 |
2021/03 | 3,061.42 | 1.61 | 3972.89 | 4.24 | 2.63 |
2021/02 | 3,012.95 | 1.23 | 3811.15 | 2.61 | 1.38 |
2021/01 | 2,976.21 | 3.58 | 3714.24 | -1.11 | -4.69 |
2020/12 | 2,873.47 | 10.89 | 3756.07 | 3.71 | -7.18 |
2020/11 | 2,591.34 | 14.30 | 3621.63 | 10.75 | -3.55 |
(*S&P500지수 등락률에서 코스피 등락률을 뺀 값)
(자료=인포맥스)
encounter24@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1/11/02 06:23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