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마시는 차에 항암효과?…식약처, 온라인 부당광고 44건 적발

송고시간2021-10-26 09:29

beta
세 줄 요약

당국이 식품과 건강기능식품에 질병 예방·치료 효능이 있는 것처럼 부당광고하는 등 불법행위를 한 온라인 게시물을 무더기로 적발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전화권유 판매 방식으로 고령층에게 구매를 유도하는 게시물 91건을 점검한 결과, 44건의 부당행위를 발견해 게시물 차단 및 행정처분 등을 관계 기관에 요청했다고 26일 밝혔다.

채규한 식약처 사이버조사단장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전화권유 판매 방식으로 구매를 유도하는 부당한 온라인 광고는 대다수가 배너광고 또는 특정 URL 등으로 유인하는 특징이 있다"면서 "이런 광고는 판매자·판매제품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제품 구매 시 현혹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촬영 이승민]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당국이 식품과 건강기능식품에 질병 예방·치료 효능이 있는 것처럼 부당광고하는 등 불법행위를 한 온라인 게시물을 무더기로 적발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전화권유 판매 방식으로 고령층에게 구매를 유도하는 게시물 91건을 점검한 결과, 44건의 부당행위를 발견해 게시물 차단 및 행정처분 등을 관계 기관에 요청했다고 26일 밝혔다.

전화권유 판매는 판매자가 소비자에게 전화로 구매를 권유하거나, 소비자에게 전화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물건을 파는 방식을 뜻한다.

온라인 상 전화권유판매 광고 게시물 예시
온라인 상 전화권유판매 광고 게시물 예시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적발된 44건은 ▲ 건강기능식품임에도 사전에 자율심의를 받지 않았거나 심의 받은 내용과 다른 광고(28건) ▲ 질병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 광고(7건) ▲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하게 하는 광고(6건) ▲ 소비자 기만 광고(2건) ▲ 거짓·과장 광고(1건) 등이다.

주요 사례를 보면 고형차에 항당뇨, 항고혈압, 항암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 광고한 경우가 있었고 기타 가공품을 '면역력, 혈액순환 완벽 케어' 등으로 광고해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하게 한 경우가 있었다.

질병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 광고 사례
질병 예방·치료에 대한 효능·효과 광고 사례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채규한 식약처 사이버조사단장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전화권유 판매 방식으로 구매를 유도하는 부당한 온라인 광고는 대다수가 배너광고 또는 특정 URL 등으로 유인하는 특징이 있다"면서 "이런 광고는 판매자·판매제품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제품 구매 시 현혹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u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