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열대야·폭염일수 줄어든 대구…'대프리카' 별명 무색

송고시간2021-08-11 16:22

beta

여름 날씨가 아프리카처럼 더워 '대프리카'라고 불려온 대구의 별명이 올해는 무색해졌다.

수도권과 서쪽 지방에서 더 잦은 폭염과 열대야를 보여 '서프리카'에 그 명성을 내줬기 때문이다.

11일 대구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이날까지 올해 대구지역 폭염 일수는 17일, 열대야 일수는 9일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올해 수도권과 서쪽 지방 더 더워…기상청 "동풍 효과"

(대구=연합뉴스) 한무선 기자 = 여름 날씨가 아프리카처럼 더워 '대프리카'라고 불려온 대구의 별명이 올해는 무색해졌다.

'얼음이 그리운 계절'
'얼음이 그리운 계절'

(대구=연합뉴스) 김현태 기자 = 절기상 가장 무덥다는 대서(大暑)인 지난달 22일 오후 대구 달서구 이월드에서 방문객들이 아이스링크에서 스케이트를 타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수도권과 서쪽 지방에서 더 잦은 폭염과 열대야를 보여 '서프리카'에 그 명성을 내줬기 때문이다.

11일 대구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이날까지 올해 대구지역 폭염 일수는 17일, 열대야 일수는 9일이다.

폭염일수는 체감온도가 33도 이상인 날 수, 열대야 일수는 아침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날 수를 각각 말한다.

서울의 경우 올해 폭염 일수는 23일, 열대야 일수는 21일로 대구보다 더운 날이 월등히 많았다.

참새도 그늘이 좋아
참새도 그늘이 좋아

(서울=연합뉴스) 양지웅 기자 = 수도권에 폭염 경보가 발효 중인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의 철제 구조물 그늘에서 참새가 더위를 피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기상청 측은 "더운 열기를 품은 대기 상층 티베트 고기압과 대기 중층 북태평양 고기압이 우리나라로 확장하고 동풍 효과로 수도권과 서쪽 지역에 폭염과 열대야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동풍 영향으로 대구는 폭염과 열대야가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의미다.

게다가 올해는 더위가 일찍 수그러들 가능성도 커 보인다.

작년의 경우 대구 폭염일수는 25일, 열대야 일수는 16일이었다. 장마가 길었던 탓에 폭염·열대야 일수는 7월에 각각 하루씩 있었던 것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 8월에 집중됐다.

하지만 대구는 오는 12일부터 10일 남짓한 기간 동안 열대야 예보가 없고 낮 최고 기온은 29∼32도 수준이 될 전망이다.

2017년 '대프리카' 조형물
2017년 '대프리카' 조형물

[연합뉴스 자료 사진]

대구기상청 관계자는 "열대야와 고온 현상은 보통 8월 상순에 절정을 이룬다"며 "대구는 지난 6일을 끝으로 열대야가 더 나타나지 않았고 당분간 비 소식이 있어 기온은 당분간 지금보다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msha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