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면허 없이 의약품 불법판매…부산시 약사법 위반 7명 적발

송고시간2021-08-05 08:09

beta
세 줄 요약

부산시 특별사법경찰과(특사경)는 4∼6월 약사법 위반 등 불법영업 판매행위 기획수사를 실시해 총 7개 업체 7명을 적발, 검찰에 송치했다고 5일 밝혔다.

주요 적발 사례는 약국 개설자가 아님에도 의약품을 판매한 행위(1곳), 약국 개설자가 아닌 무면허자에게 의약품을 유통·판매한 행위(1곳), 공산품을 의료기기로 오인 광고(1곳), 화장품의 의약품 오인 광고(3곳), 화장품 포장 훼손 판매(1곳) 등이다.

부산 사하구 소재 A마트의 건강기능식품 판매 대표자는 약사 면허가 없는 데도 2020년 9월부터 5개월간 3천500여개 약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해 920만원 상당 이득을 얻은 혐의로 적발됐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의약품 (PG)
의약품 (PG)

[장현경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부산시 특별사법경찰과(특사경)는 4∼6월 약사법 위반 등 불법영업 판매행위 기획수사를 실시해 총 7개 업체 7명을 적발, 검찰에 송치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수사는 의약품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현장 확인과 온라인 화장품 판매 등 상시 모니터링을 병행했다.

주요 적발 사례는 약국 개설자가 아님에도 의약품을 판매한 행위(1곳), 약국 개설자가 아닌 무면허자에게 의약품을 유통·판매한 행위(1곳), 공산품을 의료기기로 오인 광고(1곳), 화장품의 의약품 오인 광고(3곳), 화장품 포장 훼손 판매(1곳) 등이다.

일례로 부산 사하구 소재 A마트의 건강기능식품 판매 대표자는 약사 면허가 없는 데도 2020년 9월부터 5개월간 3천500여개 약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해 920만원 상당 이득을 얻은 혐의로 적발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온라인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일반화장품을 독소 배출, 바이러스 및 세균 제거, 항균 작용, 혈액순환 등의 기능이 있는 의약품으로 오인해 광고하거나 공산품인 구강 세정기를 치석 제거, 염증 개선 등 의료기기로 과장 포장한 경우도 있었다.

약사법 위반 시 최고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형에, 약사가 아닌 무자격자에게 의약품을 판매한 의약품 도매상 개설자는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진다.

win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