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북 '대화' 신호 직후 한미가 내일 만난다…대북메시지 주목

송고시간2021-06-20 07:00

beta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 바이든 미 행정부를 향해 대화에 방점을 찍은 메시지를 내놓은 직후 한국과 미국의 북핵담당 고위당국자가 서울에서 만나 주목된다.

20일 외교부에 따르면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1일 서울에서 19일 방한한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와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갖는다.

김정은 위원장이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미국에 대한 비난없이 "대화에도 대결에도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언급한 사실이 지난 18일 알려진지 사흘만에 한미의 북핵수석대표가 머리를 맞대는 것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21일 서울서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북미대화 재개 방안 모색

김정은 '대화 방점' 메시지에도 협상 전환은 쉽지않아…코로나도 변수

방한하는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방한하는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영종도=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미국의 북핵 협상을 총괄하는 성 김 대북특별대표가 19일 오전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2021.6.19 kan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상용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 바이든 미 행정부를 향해 대화에 방점을 찍은 메시지를 내놓은 직후 한국과 미국의 북핵담당 고위당국자가 서울에서 만나 주목된다.

20일 외교부에 따르면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1일 서울에서 19일 방한한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와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를 갖는다.

김정은 위원장이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미국에 대한 비난없이 "대화에도 대결에도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언급한 사실이 지난 18일 알려진지 사흘만에 한미의 북핵수석대표가 머리를 맞대는 것이다.

이들은 이 자리에선 김정은의 발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의 발언에 대해 한국은 "유연한 메시지"(통일부)라며 긍정적으로 분석했는데, 미국은 이런 평가없이 "북한과의 외교에 열려있다"(미 행정부 고위당국자)는 원론적인 입장을 확인하는 데 그쳐 인식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따라서 노규덕 본부장과 성 김 대표는 양국의 생각을 조율하는 한편 2019년 2월 '하노이 노딜' 이후 장기간 교착상태인 북미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협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성 김 대표가 방한기간 내놓을 대북 메시지가 관심이다.

일단 북한의 대화 복귀를 촉구하며 바이든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는 정도의 언급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 정도로는 그동안 꿈쩍않던 북한이 대화 테이블에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

대화의 조건으로 미국의 적대시 정책 철회를 요구했던 북한의 자세에 변화가 있다는 정황도 아직 드러난 게 없다. 북한이 적대시 정책 중 하나로 간주하는 한미연합훈련이 8월에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본 뒤에 움직일 가능성도 있다.

그렇다고 미국도 북한을 협상 테이블에 앉히기 위해 '제재 완화' 등 구체적인 당근을 먼저 제시할 리가 없다.

더구나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에 집중하면서 국경을 접한 중국을 포함해 어느 국가와도 직접 접촉을 극도로 꺼리는 상황이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미가) 본격적인 대화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서로 조건을 맞춰봐야 할 부분이 있고, 게다가 북한이 설령 대화 의지가 있어도 코로나 방역 상황으로 지금 대화에 나서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gogo213@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