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용산철도병원 부지에 박물관·아파트·상가 건립

송고시간2021-05-27 09:00

beta
세 줄 요약

빈 건물로 방치된 용산철도병원과 그 부지에 박물관과 공동주택을 포함한 고층 건물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용산구 한강로3가 65-154번지 일대 용산철도병원 부지 특별계획구역 지정·세부개발계획 결정안을 가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용산철도병원 부지 개발계획
용산철도병원 부지 개발계획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빈 건물로 방치된 용산철도병원과 그 부지에 박물관과 공동주택을 포함한 고층 건물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용산구 한강로3가 65-154번지 일대 용산철도병원 부지 특별계획구역 지정·세부개발계획 결정안을 가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용산철도병원은 등록문화재 제428호로 지정된 곳이다. 1984년부터 중앙대 용산병원으로 운영됐으나 2011년 폐업 이후 지금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시는 토지 소유자인 한국철도공사와 지난해 1월부터 사전협상을 진행해 개발계획을 수립했다고 전했다.

가결된 계획은 용산철도병원을 용산역사박물관으로 바꿔 운영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에 따라 이 부지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종합의료시설은 폐지되고 문화시설로 변경된다.

병원 건물 뒤쪽으로는 지하 6층·지상 34층·연면적 9만4천㎡짜리 건물이 지어진다. 아파트 685가구·상가 등이 들어간다.

이 사업으로 발생하는 공공기여 약 665억원은 박물관 활용을 위한 용산철도병원 리모델링과 수장고 설치에 474억원, 어린이집 신축과 풋살장 도입에 111억원, 도로 신설에 80억원 등이 배정된다.

시는 "오랜 기간 방치됐던 문화유산인 용산철도병원을 박물관으로 조성해 역사·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활용할 것"이라며 역사·문화·쇼핑이 어우러져 새로운 명소가 되리라고 기대했다.

j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