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도 못 꺾은 창업 열기…지난해 148만개 사상 최대
송고시간2021-02-24 12:00
전년보다 15.5%↑…대면 업종 창업 줄고 비대면 증가

[제작 이태호]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지난해 창업기업이 150만 개에 육박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창업기업이 148만4천667개로 전년 대비 15.5% 증가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 과세 시행으로 임대사업자 등록이 의무화되면서 대폭 증가한 부동산업을 제외하면 증가율은 4.1% 수준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 업종 창업은 줄고 비대면 업종은 늘었다.
전자상거래업 등이 포함된 도소매업 창업기업은 39만55개로 17.0%, 기술창업 기업은 22만8천949개로 3.8% 증가했다.
반면에 숙박·음식점업은 16만6천548개로 10.0%, 개인서비스업은 5만3천962개로 4.7% 감소했다.
[표] 연도별 창업기업 추이 (단위: 개. %)
연도 | 2019년 | 2020년 |
전체 창업 | 1,285,259 | 1,484,667 |
(-4.4) | (15.5) | |
부동산업 제외 |
1,005,462 | 1,046,814 |
(2.9) | (4.1) |
※ 괄호안은 전년 대비 증감률
코로나19 확산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함에 따라 정보통신업(21.2%)과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7.2%) 창업이 늘었지만 대면 업종인 교육서비스업(-8.9%)과 창작·예술·여가서비스업(-3.5%)은 줄었다.
조직 형태별로 보면 개인 창업기업이 136만1천362개로 전체의 91.6%를 차지했고 법인 창업기업은 12만3천305개로 8.4%였다. 개인 창업기업은 전년보다 15.8%, 법인 창업기업은 12.6% 증가했다.
창업기업을 창업자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이 38.1%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50대(15.1%),39세 이하 청년층(11.4%), 40대(10.0%) 순이었다.
그러나 부동산업을 제외하면 39세 이하 청년층 증가율이 9.1%로 가장 높았고 60세 이상은 8.6%였다. 50대(-1.1%)와 40대(-0.5%)는 오히려 줄었다.
대표자 성별로는 남성 창업기업이 전체의 53.3%, 여성 창업기업이 46.7%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비중이 56.5%로 전년보다 1.7%포인트 상승했다.
중기부는 "지난해 창업기업 증가세를 창업붐으로 이어가기 위해 올해 중에 청년창업, 중·장년 창업 등 다양한 분야의 창업기업에 대한 맞춤형 대책을 시리즈로 준비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표] 업종별 창업기업 추이 (단위: 개, %)
구분 | 창업기업 | ||||||
기술창업 | 도·소매 | 숙박·음식점 | 개인 서비스 |
부동산업 | 기타 | ||
2019년 | 1,285,259 | 220,607 | 333,246 | 185,116 | 56,636 | 279,797 | 209,857 |
(-4.4) | (3.9) | (7.9) | (1.3) | (2.8) | (-23.8) | (-4.0) | |
2020년 | 1,484,667 | 228,949 | 390,055 | 166,548 | 53,962 | 437,853 | 207,300 |
(15.5) | (3.8) | (17.0) | (-10.0) | (-4.7) | (56.5) | (-1.2) |
※ 괄호안은 전년 대비 증감률
kak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1/02/24 12: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