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주북 체코대사관 관계자 "설탕·식용유 동나고 전력난 심각"

송고시간2021-02-10 09:39

beta

북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국경 봉쇄로 식량과 전력이 모두 부족한 상황이라고 평양 주재 체코 대사관 관계자가 밝혔다.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체코 대사관 관계자는 RFA와 인터뷰에서 "수입 중단으로 몇 달째 설탕과 식용유를 아예 찾을 수 없다"면서 "커피나 치약 등 제품도 물론 없어졌다"고 말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RFA와 인터뷰…"북한, 1년간 국경 봉쇄로 예상되는 모든 문제 겪는 중"

북한 대중시설 방역
북한 대중시설 방역

북한 단천시 대중시설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해 방역작업을 하는 모습을 2020년 12월 5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2020.12.5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서울=연합뉴스) 정래원 기자 = 북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국경 봉쇄로 식량과 전력이 모두 부족한 상황이라고 평양 주재 체코 대사관 관계자가 밝혔다.

1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체코 대사관 관계자는 RFA와 인터뷰에서 "수입 중단으로 몇 달째 설탕과 식용유를 아예 찾을 수 없다"면서 "커피나 치약 등 제품도 물론 없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현지에서 재배된 야채와 과일은 지난 겨울보다 가격이 올랐다"면서 "국가가 1년 동안 국경을 봉쇄하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모든 문제를 북한이 지금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 중앙정보국이 개편된 'CIA 월드 팩트북'에서 북한 주민 가운데 26%만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한 것에 대해 이 관계자는 "타당한 추정치"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전력에 접근할 수 있는 주민들조차 정전 때문에 항상 전기를 쓸 수는 없다"면서 "최근에는 대사관 구역에서도 여러 차례 정전을 겪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코로나19의 유입을 막기 위해 지난해 1월부터 국경을 봉쇄해왔다.

앞서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북 러시아 대사도 러시아 매체와 인터뷰에서 북한이 국경을 봉쇄한 이후 식료품과 약품 등을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됐다고 밝혔다.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6BiWS8l8cR0

on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