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 없이 부족하죠" 3차지원금 소식에도 달갑지 않은 소상공인들
송고시간2020-12-28 15:10
"수입은 거의 없고 관리비는 매달 나가고…돈 빌려 겨우 겨우 버텨"
"지원금 실효성 있는지?…체감할 수 있는 혜택 빨리 마련해줬으면"
(전국종합=연합뉴스) "300만원이 아예 도움이 안 된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1년간 적자를 생각하면 한숨만 나옵니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자영업자들에게 오는 1월 3차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피해 정도에 따라 100만∼300만원을 각각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장기간 영업 중단 등으로 피해를 본 업주들은 달갑지만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지난해부터 인천 남동구에서 헬스장을 운영해온 A(35)씨는 방역 당국의 집합 금지로 영업을 하지 못해 이번 3차 지원금으로 300만원을 받게 됐지만 근심이 가시질 않는다고 토로했다.
그가 운영하는 헬스장은 지난해까지 강사(트레이너) 4명을 두고 1대1 수업(PT·퍼스널 트레이닝)을 진행했으나 지금은 트레이너 1명만 남았다.
A씨는 "정부도 고민이 많을 테고 지원금을 안 주는 것보다는 낫지만 솔직히 지금 상황을 극복할 만큼의 돈은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다행히 착한 임대인이 매달 임대료를 감면해 주고 있지만 상가 전체를 관리하는 용역회사에 내는 관리비만 한 달에 200만원"이라며 "이번 달에는 계속 영업을 못 했는데도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A씨는 "동종 업계 사람들과 연락도 뜸해졌다. 사정을 뻔히 아니깐 이제 서로 어떡하냐고 묻지도 않는다"며 "코로나19로 인한 영업 피해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모르기에 끝없이 무기력해진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서울=연합뉴스) 장예진 기자 =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자영업자에게 임대료를 포함해 최대 3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jin34@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장기간 집합 금지 대상이었던 노래연습장 업주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의정부의 한 노래방 업주는 "생활비가 모자라 여기저기서 돈을 빌려 버티고 있다"며 말끝을 흐렸다.
김석호 노래연습장 경기도 지회장은 "정부에서 도움을 준다니 그나마 다행이지만 솔직히 업주들이 처한 상황이나 지원 액수 등을 봤을 때 달갑지 않다"며 "업주들 대다수가 큰 금액을 대출받으며 버티는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3단계 시행 등 강력한 방역 정책으로 확진자를 대폭 줄이지 않고는 영세 노래방 업주들이 이대로 장기간 버틸 수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업이 완전히 금지되지는 않았지만 상당한 제한을 받았던 식당이나 카페 업주들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았다.
현재 포장(테이크 아웃)만 가능해 매출이 큰 폭으로 떨어진 부산 지역 카페 점주들은 정부의 지급 금액이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입을 모았다.
부산 중구에서 개인 카페를 운영하는 B(30대)씨는 "임대료와 인건비까지 고려하면 매달 고정 비용이 천만원대"라며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1년간 규제로 인한 매출 감소를 생각하면 턱없이 모자란다"고 토로했다.
부산 서구에서 프렌차이즈 카페를 운영하는 C(50대)씨는 "월 임대료가 수백만 원에 달하는데 영업도 제대로 못 하는 환경에서 200만원을 지원하는 것은 생색내기용 아니냐. 이자도 갚기 어려울 것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광주 동구 동명동의 식당 주인 D(37)씨는 "연말 매출 비중이 큰데 5인 이상 집합 금지로 사실상 영업을 못 하게 됐다"며 "100만∼200만원이 큰돈이지만 방역에 예산과 인력을 집중해 확진자 수를 줄이는 걸 가장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한 달 임대료에도 못 미치는 것은 사실이지만 초유의 사태에 대한 정부의 대응을 믿고 응원한다는 점주도 있었다.
올해 초 광주 서구 광천동 유스퀘어에 한식당을 연 강종남(57) 씨는 "힘겹게 올 한 해를 보내고 있지만 나보다 더 어려운 이웃도 있고 정부도 단숨에 모두를 만족시킬 정책을 펼치긴 어려우리라 생각한다"며 "당장은 아니더라도 예상보다 한 달, 반년 더 빨리 위기를 타파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가 임차인 뿐 아니라 '착한 임대료 운동'에 동참하는 임대인의 지원도 일부 확대하기로 한 가운데 정부의 고민에 공감하지만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바란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전주 한옥마을 주변에 건물을 소유한 한광수 씨는 세입자 4명에게 적게는 25%, 많게는 40%의 임대료를 감면하고 있다.
업종별로 더 힘든 세입자도 있어 임대료 감면 비율에 차등을 뒀다.
한씨는 '착한 임대인'의 세액공제 확대에 대해 고마움과 걱정을 함께 표현했다.
그는 "세입자와 함께 고통을 겪고 있을 임대인들에게 정부가 배려해주니 고맙다"며 "국가적 위기가 계속되니 착한 임대료 운동에 쭉 동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사실 수입이 줄어드니 임대인도 타격이 있다. 정부의 이번 혜택은 고맙지만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라며 "정부가 줄 수 있는 혜택에 한계가 있다는 걸 알고 있지만, 세입자나 임대업자가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고민해줬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박성제 손현규 임채두 장아름 최재훈 기자)
areu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0/12/28 15:1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