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교육협력 방안은…"코로나19 속 온라인 교류 이어가야"
송고시간2020-11-25 17:01
한중일러, 인천서 국제 교육정책 포럼…"지자체 간 협력도 중요"
(인천=연합뉴스) 최은지 기자 = 한국·중국·일본·러시아 4개국 교육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동아시아 국가 간 교육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인천시교육청이 25일 오후 '동아시아 교육 협력,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연 온라인 공동 교육정책 국제 포럼에서 각국 교육계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속에서도 교육 교류를 이어가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교육 협력은 단순히 자국 문화를 소개하는 활동 위주 사업의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며 "장기적인 도시 간 교육 협력을 위해 동아시아 교육협력 사무국을 설치하고 정기적인 동아시아 평화 캠프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심보 히로시 주한일본대사관 1등 서기관은 "한번 끊긴 교류 사업을 되살리는 건 굉장히 어렵다"며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온라인으로라도 교류를 지속해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온라인 교류는 경제적 격차와 상관없이 많은 아이에게 외국과의 교류 기회를 주는 부차적인 효과도 있다"며 "감염병 사태가 해결돼 대면 교류가 쉬워지더라도 온라인 교류를 이어가는 게 좋다"고 내다봤다.
동아시아 국가의 교육 협력이 활발히 이뤄지려면 지방자치단체와 개별 도시 간 지속적인 교류가 필수적이라는 제안도 나왔다.
리홍 주한중국대사관 교육참사관은 "교육 교류는 가장 먼저 실질적인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며 "현재 구축된 아시아 캠프나 한중일 협력처 등 기관이 협력해 중·고등학생과 대학생까지 아우르는 교육 협력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여기에 러시아까지 포함한다면 유럽까지 일체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각국) 학생들의 학위와 학점 교류를 확대하는 것도 협력 증진에 도움이 될 거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파벨 레사코프 주한러시아대사관 참사관도 "유라시아 국가로서 러시아도 참여하는 동아시아 교육 공동체 조성에 동의한다"며 "이는 국가 틀에 국한되지 않고 지방, 혹은 개별 도시 간 구체적인 협력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chams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0/11/25 17:01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