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경기도 교육·복지시설 '부적합 지하수' 개선 지속 추진

송고시간2019-12-22 11:09

(수원=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경기도는 수도권 일부 지역 '붉은 수돗물' 사태 이후 교육·복지시설 310곳의 지하수 음용 실태조사를 토대로 시설을 개선한 결과, 전체 시설의 95%인 296곳이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음수대
음수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적합 판정된 296곳은 음용 기준 이내 273곳, 검사 면제(상수도 설치, 음용 중지, 폐쇄 등) 23곳이다.

나머지 14곳 중 1곳은 개선 조치 중이며, 13곳은 여전히 식수로 '부적합'한 것으로 분석됐다.

도는 부적합 시설 13곳에 대해 시설 개선(정화장치 설치 등 9곳), 상수도 설치(3곳), 용도 변경(음용→비음용 1곳)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이번 시설개선에 앞서 7월 1차 수질검사를 했고, 이후 8월부터 11월 중순까지 미흡한 수질 관리 시설에 대해 2차 시설 개선을 진행했다.

경기도, 교육복지시설 지하수 시설개선
경기도, 교육복지시설 지하수 시설개선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1차 때 부적합 시설은 155곳이었는데 이후 시설 개선(149곳), 정화 장치 설치(6곳) 등을 진행했다.

2차 부적합 시설 82곳은 시설 개선(48곳), 정화 장치 설치(11곳), 음용 중지(8곳), 상수도 설치(14곳), 지하수 폐쇄(1곳) 등을 통해 개선했다.

도는 시설 개선을 하면서 중앙부처에 수질검사 주기 단축, 인허가 때 지하 수질 성적서 첨부 등 관련법 개정을 건의했다.

도 관계자는 "교육·복지 음용 지하수 시설 전수조사와 함께 시설개선을 한 것은 경기도가 광역지자체 가운데 처음"이라며 "일회성에 그치지 않게 지속적이고 일관적인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gaonnuri@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