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美의회 승인없이 트럼프월드타워 고급아파트 외국정부에 임대"

송고시간2019-05-03 19:00

최소 7개국에 임대…한국도 임차요청했으나 실제 계약여부 미확인

美헌법 보수조항 위반 가능성…"아파트 매각한 트럼프는 무관" 해명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미국 뉴욕 '트럼프 월드 타워'의 고급 아파트가 외국 정부에 불법적으로 임대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과거 이 건물의 아파트를 매각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정부들과의 임대차 거래와 무관하다는 것이 트럼프그룹 측 주장이지만, 여전히 트럼프그룹이 건물 관리를 맡고 있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런 거래로 이득을 봤다는 분석도 나온다.

로이터 통신은 2일(현지시간) 최소 7개국 정부가 뉴욕 맨해튼에 있는 트럼프 월드 타워 내 고급 아파트 등의 공간을 지난 2017년 의회의 승인 없이 반복해서 빌렸다고 보도했다.

외국 정부의 트럼프 월드 타워 임대는 미국 공무원이 의회의 승인 없이 외국 정부의 선물 등을 받는 것을 금지한 미국 헌법의 보수 조항에 저촉될 가능성이 있다고 몇몇 법률 전문가들이 로이터에 밝혔다.

트럼프 월드 타워(화면 중앙에 가장 높게 솟은 건물)
트럼프 월드 타워(화면 중앙에 가장 높게 솟은 건물)

[트럼프그룹 홈페이지 캡처]

로이터가 확보한 자료에 의하면 2017년 1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고 8개월이 지난 후 복수의 외국 정부는 트럼프 월드 타워의 임차 허가를 요구하는 외교 문서를 국무부에 제출했다.

이 가운데 이라크, 쿠웨이트,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슬로바키아, 태국, 유럽연합은 국무부의 승인을 받고 임대차 계약을 완료했다.

이 외에도 한국과 알제리 등이 임차 허가를 요청했으나, 국무부가 이를 승인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그러나 트럼프 월드 타워의 아파트 임대 요청이 미 의회에는 제출된 적이 없다고 의회 관계자가 로이터에 밝혔다.

즉,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에는 다른 나라 외교관이나 관료들의 트럼프 월드 타워 내 아파트의 임대차 거래와 관련해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게 문제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트럼프그룹의 법률 자문위원인 앨런 가르텐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건물이 개발될 때는 내부의 개별 공간을 대부분 소유했으나 20년 전에 매각했고, 현재는 건물 내 아파트를 제3자나 개인들이 소유하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외국 정부 등이 트럼프 월드 타워 내 아파트를 빌리면서 임차료를 내더라도 이 돈이 바로 트럼프의 호주머니로 들어가는 구조는 아니므로 보수 조항과 무관하다는 주장인 셈이다.

하지만 트럼프그룹이 이 건물을 관리하면서 수익을 올리고 있으므로 외국 정부가 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트럼프 측은 보수 조항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 수행과 관련돼 제공되는 선물 등에 제한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서비스 등을 제공한 대가는 이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럼에도 이번 아파트 임대와 관련한 의혹을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 및 사업에 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라는 목소리가 한층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월드 타워는 뉴욕 맨해튼의 유엔 본부 건물 인근에 있는 90층 건물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거주지로 유명한 맨해튼 5번가 소재 '트럼프 타워'와는 다르다.

sewonle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