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내일 '우수' 큰 눈…서울 등 중부 최고 10㎝ 넘을 수도
-
문대통령, '5·18 망언'에 "헌법 부정…나라근간 무너뜨리는 일"
-
"北美정상, '비핵화' 정의부터 명확히…모호성 제거가 급선무"
-
최종구 "역전세, 집주인이 해결할 일…집값 더 안정돼야"
-
'車관세 보고서' 어떤 영향 미칠까…국내 자동차업계 '촉각'
-
경사노위, 탄력근로제 마지막 회의 시작…합의 도출 어려울 듯
-
문대통령-종교계 평화염원 한목소리…"해금강 일출 함께"
-
'3·1절 특사' 정치인 포함…반대 51% vs 찬성 42% [리얼미터]
-
"김병준 나가", "탄핵부역자"…욕설 쏟아진 한국당 TK연설회
'세계의 시장' 식는다…"중국 1월 수입 10% 감소 예상"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중국의 수출입이 두 달 연속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중국 경제의 급격한 둔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2일 로이터 통신의 전문가 설문조사에 따르면 올해 1월 중국의 수입은 작년 동기보다 1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7.6% 감소보다 악화한 것이며, 2016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감소율이다.
응답자 대부분이 중국의 1월 수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으며 응답자 중에서는 20.1%까지 수입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중국의 1월 수출도 작년 동기보다 3.2%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12월 수출은 4.4%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1월 중국의 무역흑자가 335억 달러에 그쳐 작년 12월(570억6천만 달러)보다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중국 수입 감소 대부분이 기술 부문에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 관세에 따른 불확실성이 중국 기술 부문 수입을 억제했다고 하더라도 공급망 효과로는 최근 기술 부문의 수입 감소를 고작 20% 정도 설명할 수 있을 뿐 절반도 설명하지 못한다"며 "나머지는 주로 중국 내수 약화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 관영 경제참고보는 11일 중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6.0%로 작년 4분기 6.4%보다 둔화하고 연간 성장률은 6.3%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chic@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9/02/12 16:35 송고

많이 본 포토

